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매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매법(專賣法)은 송나라의 재정 정책이다.

재정면에서 송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징수기구인 전매제도를 채택하였다. 소금, 차, 술, 향료, 약품 등을 전매의 대상으로 삼았는데, 특히 소금이 그 중심으로 여러 가지 면에서 문제를 일으키게 되었다. 중국의 소금 생산지는 해안선과 일부는 내륙염호(內陸鹽湖), 쓰촨(四川)의 암염(岩鹽)에 한정된다. 광대한 중국에서는 정부가 생산지역을 장악한 뒤 그 가격이나 분배를 자의적으로 결정하여 거대한 이익을 올릴 수 있었다.세부적인 판매구역이나 가격은 정부의 형편에 따라 자주 변경되어서 백성은 대개의 경우 질이 나쁘고 값이 비싼 소금을 사야만 되었다. 그래서 값이 싸고 질 좋은 소금을 몰래 파는 밀매인이 정부가 끊임없이 단속을 강화하면 할수록 확대하여 대항하였다. 소금의 밀매단은 체제에서 밀려난 사람들을 수용함과 동시에, 일단 일이 일어나면 반체제 운동의 중핵으로 변하여, 송 이후의 역대 왕조의 골칫거리가 되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