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공중보건의사 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공중보건의사 등은 대한민국의 보충역 제도에 의한 대체복무제도의 하나로, 의사의 자격이나 변호사의 자격을 갖춘 자를 대상으로 한다. 모두 공무원의 신분이다.[1]
- 2011년 기준 전문봉사요원 신규 선발(편입)현황[2] : 총원 1,599명.
- 한편 공중보건의사는 2012년 4,054명(의과 2,538명, 한의과 950명, 치과 556명)에서 점차 줄어들어 2020년에는 3,142명(의과 1,762명, 한의과 960명, 치과 420명)으로 912명 줄어든다.[3]
- 의료 사각지대인 농어촌 등에서 필요한 공보의 인력은 3,000명 내외이다.
- 그 외로는 2011년 기준 징병검사의사는 124명, 국제협력의사는 54명, 공익법무관은 212명, 공중방역수의사는 446명이다.[4]
- 모두 의무복무기간이 3년이므로, 근무 계약 기간 역시 3년이다. 또한 4주의 기초군사교육 (육군훈련소에서만 실시)은 복무기간에 산입하지 않는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