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우크라이나 연합 "조국"
우크라이나에서 정당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우크라이나 연합 "조국"(우크라이나어: Всеукраїнське об'єднання «Батьківщина» 우세우크라인스케 오비예드난냐 바티키우시나[*]) 또는 바티키우시나(Батьківщина [ˌbɑtʲkʲiu̯ˈʃtʃɪnɐ] 듣기 (도움말·정보))는 율리야 티모셴코가 이끄는 우크라이나의 중도우파 정당이다.[5] 바티키우시나는 우크라이나어로 ‘조국’을 뜻한다.
Remove ads
이전의 중앙당이었던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에서, 율리야 티모셴코가 1999년 3월 바티키우시나 정치 파벌을 모은 이후에 최고 라다에서 창설을 알렸다.[10][11][12] 2011년 11월 우크라이나의 선거에서 정당 블록들의 선거 참여가 금지된 이후[13] 바티키우시나는 우크라이나의 독립적인 정치 세력으로 큰 힘을 발휘했다.[14] 또한, 2012년 우크라이나 총선에서는 당명에 "야당 연합"이라는 말을 추가하여 이 기치 아래 몇몇 다른 정당들이 연합하였다. 이 선거에서 바티키우시나는 101석을 차지했다.[14][15][16] 2013년 6월 연합당 일부는 바티키우시나가 흡수 합병했다.[17] 2013년 12월 31일 이 정당의 의회 의석수는 90석으로 급격히 줄어들었다.[18] 이 정당 자체는 도네츠크주에서 금지되었으며, 이 주에서 바티키우시나에 투표하는 것은 중범죄로 간주되게 되었다.[18] 이 정당은 주로 서우크라이나(특히 르비우주)와 중앙우크라이나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18]
이 정당의 대표인 율리야 티모셴코는 2011년 10월 직권남용을 이유로 7년간의 징역을 선고받았다. 그녀는 하르키우 병원에서 치료받는 동안 선고받았다.[5][19] 그녀는 2014년 2월 22일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 이후 석방되었다.[20]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초기 역사
이 정치 조직은 1995년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국립 대학교의 총장 볼로디미르 프리스냐코우가 세운 조국 평화 세력 연합 전우크라이나 시민 협회에서 출발했다.[12] 이 시민 협회는 1999년 7월 9일 흐로마다 정당의 전 의원들이 합세하여 정당으로 발전했다.[12] 1998년 9월 14일 우크라이나 검찰청이 흐로모다 당수 파울로 라자렌코에 대한 횡령 혐의가 발생하여,[10] 1999년 봄 흐로마다 전 의원들은 당을 떠나 다른 정당으로 흩어졌고 그 중 율리야 티모셴코는 1999년 3월 의회 정당 바티키우시나를 세웠다.[10][11][12][21] 1999년 9월 16일 이 정당은 우크라이나 사법부 장관을 배출하였다.[12][22] 제1정당 대표는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의 우크라이나 공산당 비서였던 빅토르 드라첸코로 선출되었다.[12] 1999년 12월 18일 2차 당회의에서 대표는 율리야 티모셴코가 되었다.[12]
티모셴코가 유셴코가 이끄는 정부의 부총리가 된 이후, 처음에는 정당을 조건부 친대통령적이며 좌익 성향으로 간주되었다.[12][23][24] 2000년 '조국'은 쿠치마 대통령을 반대했다.[25] 그리고, 1999년 우크라이나 대선에서 예우헨 마르추크로 유권자를 끌어모으기 시작했다.[25] 2001년 2월 티모셴코가 체포된 이후, '조국'은 즉시 반대 입장에 섰고 시민들과 함께 쿠치마 없는 우크라이나를 열기 시작했다.[26] 그리고, 이 정당은 다음 의회 선거 직전에 우크라이나 구국위원회를 창설하였고, 이후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 창설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26]
2001년 12월 우크라이나 보수공화당이 조국에게 합병되었다.[27]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의 중앙당
2002년 우크라이나 총선 시기, 이 정당은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의 중앙당으로써 출마했다.[22] 이 블록은 모든 당을 합하여 22개 의석을 얻었다. 그 중 13개 의석을 바티키우시나가 획득했다.
2002년 우크라이나 총선 시기 "바티키우시나" 전우크라이나 연합 정당의 최고 인물 10명
율리야 티모셴코 · 올레흐 빌로루스 · 올렉산드르 투르치노우 · 미하일로 파울로우스키 · 페트로 톨로치코
스테판 흐마라 · 세르히 프라우덴코 · 빅토르 타란 · 발렌틴 주보우 · 예우헨 키릴추크
2005년 1월 티모셴코는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과 함께 우크라이나의 총리가 되었다.[28][29] 티모셴코는 1달 전 오렌지 혁명에서 유셴코를 대통령에 오르게 해 준 여러 지도자들 중 한 명이다.[28][30]
2002년과 2003년에는 몇 석을 잃었다. 2005년 9월에는 블록 세력이 40명으로 성장했다.[31]
2005년 3월 우크라이나 자유민주당이 바티키우시나로 자가 합병하였다.[12] 그러나, 2007년 3월 이 병합은 취소되었고 야블루코는 우크라이나 자유민주당으로 옮겼다.[12] 2005년 말 우크라이나 연합 정당 또한 바티키우시나로 자가 합병하였다.[12]
2006년과 2007년 우크라이나 총선에서 이 정당은 똑같이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으로 참여하여[22] 2006년에는 450석 중 129석(22.29%)를, 2007년에는 450석 중 156석(30.71%)을 획득했다.[22]
2006년 우크라이나 총선 시기 바티키우시나 전우크라이나 연합 정당의 최고 인물 10명
율리야 티모셴코 · 올렉산드르 투르치노우 · 미콜라 토멘코 · 올레흐 빌로루스 · 야로슬라우 페도르추크
안드리 시킬 · 아나톨리 세미노하 · 세르히 사스 · 빅토르 타란 · 발렌틴 주보우
2007년 우크라이나 총선 시기 바티키우시나 전우크라이나 연합 정당의 최고 인물 10명
율리야 티모셴코 · 올렉산드르 투르치노우 · 미콜라 토멘코 · 요시프 빈스키 · 흐리호리 오멜첸코
비탈리 쿠릴로 · 올레흐 빌로루스 · 야로슬라우 페도르추크 · 예우헨 수슬로우 · 안드리 시킬

2007년 12월 18일, 두표 차로 승리한 율리야 티모셴코는 우리의 우크라이나-국민 자위 블록과 율리야 티모셴코 연합이 집권하고 다시 총리가 되었다.[32][33]
2008년 이후 바티키우시나는 유럽 국민당의 참관 자격으로 활동하고 있다.[34]
티모셴코의 정부가 2010년 3월 3일 패배한 이후 율리야 티모셴코 블록은 야당이 되었다.[35]
2010년 우크라이나 지방 선거 기간 동안 이 정당(이 때부터 정당 블록이 선거에 나오는 것은 금지되었다[36][37])은 야당으로써 세력이 계속 남아 있었지만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 우크라이나 지역당에게 패배했다.[38] 이 정당은 24개 지역 의회에서 19개 의석을 얻었지만, 크림 최고위원회에서는 한 좌석도 얻지 못했다.[39] 리비우주와 키이우주에서 뿐 아니라 테르노필에서도 후보를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거에서 참여할 수 없었다. 율리야 티모셴코는 "사기당한 바티키우시나 정당 조직은 빅토르 야누코비치의 주문에 넘어갔다"라고 주장했다.[40][41][42]
Remove ads
연합 및 합병한 정당
선거 블록 연합
- (2002년~2012년) 우크라이나 사회민주당으로서 우크라이나 - 전진! 연합
- (2002년~2006년) 우크라이나 국민당 의회에서의 우크라이나 플랫폼 소보르 연합
- (2002년~2006년) 우크라이나 공화당 (총회에서 임시 합병)
- (2007년~2012년) 개혁질서당
합병
- 2001년 우크라이나 보수공화당
- 2005년~2007년 (임시) 우크라이나 자유민주당
- 2012년 개혁실서당, 국민자위당, 변화 전선, 우크라이나 국민 운동, 우크라이나를 위해!, 우크라이나 사회기독당, 시민의 지위 (2012년 우크라이나 총선 선거 명단의 정당)
- 2013년 개혁질서당, 변화 전선[43]
선거
총선
대통령 선거
정당 대표 목록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