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접사

단독으로 쓰지 않고 다른 어근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구성하는 부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접사(接辭, 영어: affix)는 어근에 어떤 뜻을 더해 주거나 품사를 바꿈으로써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의존형태소를 말한다.

분류

어근에 붙는 위치에 따라 접두사, 접요사, 접미사, 삽간사, 관통접사 등이 있다.

한국어의 피동·사동 접사

한국어의 접사에서 피동 또는 사동 접사로 쓰이는 것은 '-이-, -히-, -리-, -기-, -우-, -구-, -추-'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앞의 네 개, 즉 '-이-, -히-, -리-, -기-'는 피동과 사동 접사에 모두 쓰이며 뒤의 세 개, '-우-, -구-, -추-'는 사동 접사로만 쓰인다.

형용사에는 사동 접사가 붙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는 접사가 붙음으로써 형용사에서 동사로 바뀐다. (예: 괴롭다-괴롭히다, 늦다-늦추다, 깊다-깊이다 등)

같이 보기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