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복수 (1957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복수(Boc Su Jung, 1957년~ )는 대한민국화가이다.

간략 정보 정복수, 로마자 표기 ...

생애

1957년 경상남도 의령에서 태어나 1985년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1979년 청년작가회관에서 첫 개인전 <바닥畵-밟아주세요>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24회 여회 개인전과 <한국미술 -인간 동물 기계전>(국립현대미술관 1997), 1980년대 리얼리즘과 그 시대 (가나아트센터, 2001) 다시보는 1970-80년대 한국미술[1][2](서울특별시립미술관, 2012)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현재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작업실에서 작업한다. 작가는 2016년 부산 비엔날레 행사에서 다시 자신의 첫 개인전 <바닥畵-밟아주세요>를 개최했다.[3][4]

작품세계

많은 전시를 통해 고유한 작품 세계를 선보였던 정복수의 작품은 많은 평론가들로 하여금 욕망[5], 비극적으로 반복화 된 삶을 사는 인간의 육체[6] 등으로 해석되어 왔다. 또한 월간미술에 실린 평론가 고충환의 글에 따르면 정복수의 작품은 욕망의 탈주선을 따라 그린 욕망지도, 몸 지도이다.[7] 이미지 비평가이자 여성학자인 김영옥은 그의 작품을 화가의 자궁이라는 제목의 글로 전개해 나갔다.[8]

작가가 처음부터 사람의 몸에 매달렸던 것은 아니다. 기타 다른 작가들처럼 인상파 스타일을 바탕으로 풍경이나 인체를 다루었다. 그러나 거친 선과 색은 인간을 탐구하는 기본 바탕이 되었고, 이는 2017년 <정복수의 부산시절>[9][10]전시를 통해 관객들에게 다시 선보여졌다.

정복수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11]을 비롯, 서울특별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Remove ads

개인전 주요 전시

  • 1979 바닥畵-밟아주세요, 청년작가회관, 서울,
  • 1986 정복수전, 한강미술관[12][13], 서울
  • 1988 정복수전, 그림마당민,[14] 서울
  • 1990 정복수전, 공간미술관, 서울
  • 1998 정복수전, 사비나미술관[15], 서울
  • 2010 정복수전, 통인옥션갤러리[16], 서울

단체전 주요 전시

  • 1976 2인전 현대화랑 부산
  • 1984 83년도 문제작가전 서울미술관 / 거대한 뿌리전 한강미술관, 서울
  • 1988 민중미술 - 한국의 새로운 미술운동 (아티스트 스페이스, 뉴욕)
  • 1994 민중미술 15년전[17][18] 국립현대미술관
  • 1997 한국미술 1997-인간. 동물. 기계 국립현대미술관, FOAC 파리
  • 1998 타이페이 비엔날레 타이페이시립미술관, 타이베이
  • 1998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 부산시립미술관
  • 1998 새로운 천년 앞에서 광주시립미술관
  • 2001 1980년대 리얼리즘과 그 시대, 가나아트센터, 서울
  • 2002 한.중 회화 2002 새로운 표정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 2003 싸이코 드라마 성곡미술관[19], 서울
  • 2012 다시보는 1970-80년대 한국미술 서울시립미술관

수상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