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선군의 농어촌버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선군의 농어촌버스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의 버스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강원여객, 영암고속(화성고속)에서 운영한다.
운임
2024년 12월 9일 기준이다.
자세한 정보 종류, 나이 ...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시내 | 성인 | 1,000 | 1,000 |
청소년 | 500 | 500 | |
어린이 | 500 | 500 | |
와와카드 소지자는 무료. |
닫기
시계외요금
자세한 정보 구간, 지불 수단 ...
구간 | 지불 수단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와와카드 소지자 |
---|---|---|---|---|---|
정선~진부 | 카드(원) | 1,000 | 500 | 500 | 1,000 |
현금(원) | 1,000 | 500 | 500 | 1,000 | |
고한~태백 | 카드(원) | 2,000 | 1,000 | 500 | 2,000 |
현금(원) | 2,000 | 1,000 | 500 | 2,000 |
닫기
- 2012년 11월 1일부터 교통카드를 이용해 버스를 승차할 수 있다.[1] 캐시비 계열 교통카드만 사용 가능하며, 그 밖에 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등의 후불 교통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티머니는 2016년 1월 30일부터 사용 가능하다.[2]
- 2025년 7월 1일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최초로 전면 무료화를 실시한다.[3]
- 상세 운임은 정선군 버스정보시스템을 참고하면 된다.
- 와와카드를 소지한 경우, 무제한으로 환승이 가능하며, 미 소지자는 1시간 30분 이내에 2회 환승이 가능하다. 타 지역 버스와의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Remove ads
운행 노선
요약
관점
농어촌버스
현제 이 문서는 수정중인 문서입니다
- 정선읍 기점 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번호, 운행구간 ...
노선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1 | 정선 | ↔ | 화암공영버스정류장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정선신협 ←) - 에산1리(여성회관) - 신월1리 - 덕우삼거리 - 장승배기 - 석곡리 - 화암동굴 - 화암공영버스정류장 | 일 4회 | 신도로 경유 |
1-1 | 정선 | ↔ | 화암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애산1리 여성회관 - 신치 - 덕우삼거리 - 장승배기 - 석곡리 - 화암동굴 - 화암공영버스정류장 | 일 2회 | 구도로 경유 |
1-3 | 정선 | ↔ | 호명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애산1리 여성회관 → 신치 → 덕우삼거리 → 석곡리 → 화암동굴 → 화암공영버스정류장 → 한치 → 풍촌 → 효명 | 일 1회 | 구도로 경유 |
1-4 | 정선 | ↔ | 백전(합수거리)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ㅋ 애산1리 여성회관 - 신월1리 - 덕우삼거리 - 석곡리 - 화암동굴 - 화암공영버스정류장 - 한치 - 풍촌 - 백전(합수거리) | 일 1회 | 신도로 경유 |
1-5 | 정선 | ↔ | 백전(합수거리)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애산1리 여성회관 - 신치 - 덕우삼거리 - 석곡리 - 화암동굴 - 화암공영버스정류장 - 한치 - 풍촌 - 백전(합수거리) | 일 2회 | 구도로 경유 |
2 | 정선 | ↔ | 고한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애산1리 여성회관 - 신월1리 - 덕우삼거리 - 낙동삼거리 - 남면공영버스정류장 - 민둥산역 - 도사곡 - 사북시장 -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일 6.5회 | 고한행 5회
정선행 6회 일부시간 때 도사곡아파트 경유 |
2-1 | 정선 | ↔ | 상갈래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정선신협) - 애산1리 여성회관 - 덕우삼거리 - 낙동삼거리 - 남면공영버스정류장 - 민둥산역 - 도사곡 - 사북시장 -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고한역 - 상갈래 | 일 1회 | |
2-2 | 정선 | ↔ | 정암사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정선신협) → 애산1리 여성회관 → 덕우삼거리 → 낙동삼거리 → 남면공영버스정류장 → 민둥산역 → 도사곡 → 사북시장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고한역 → 상갈래 → 정암사 | 왕복 1.5회 | 정선행 2회
고한행 1회 운행 |
3-1 | 정선 | ↔ | 북평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내반점 - ( ← 야미 ← 아랫나전 ← 문화마을) - 용천횟집 -- 남평2리 - 북평터미널 | 왕복 1회 | 정선으로 갈때만 문화마을, 아랫나전 경유 |
3-2 | 정선 | ↔ | 장열 / 항골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내반점 - 아랫나전 - 문화마을 - 용천횟집 - 남평2리 - 북평터미널 - 북평초등학교 - 항골 - 장열 | 일 3회 | 막차시간 때는 항골이 종덤이다. |
5 | 정선 | ↔ | 정암사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애산1리 여성회관 - 덕우삼거리 - 남면공영버스정류장 - 민둥산역 - 상갈래 - 정암사 | 일 1회 | 상기된 정류장만 정차 |
8 | 정선 | ↔ | 회동 | 정선공영버스터널 - 정선농협 - 정선신협 - 용담교 - 정선레미콘 - 용탄1리 - 월평교 - 가리왕산가든 - 회동종점 | 일 8회 | |
9 | 정선 | ↔ | 수동 | 정선공영버스터널 - 정선농협 - 정선신협 - 용담교 - 정선레미콘 - 찜질방 - 귤암리농촌체험관 - 가수리(수미) - 수동쉼터 | 일 5회 | |
10 | 정선 | ↔ | 여량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내반점 → 아랫나전 → 북평1리 → 북평터미널 → 북평초등학교 → 장열삼거리→ 마산재 → 여량공영버스정류장 | 일 1회 | |
10-1 | 정선 | ↔ | 여량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내반점 - 용천횟집 - 남평2리 - 북평터미널 - 북평초등학교 - 장열삼거리 - 마산재 - 여량공영버스정류장 | 일 2회 | 남평경유 |
14 | 정선 | ↔ | 봉정.웃말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내반점 - 아랫나전 - 북평1리 - 북평터미널 - 장열삼거리 - 여량공영버스정류장 - 고양리종점 - 여량공영버스정류장 - 새치 - 봉정리 - 봉정.웃말 | 왕복 2회 | |
15 | 정선 | ↔ | 봉정.웃말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내반점 - ( ← 야미 ← 아랫나전 ← 문화마을) → 남평2리 - 북평터미널 - 장열삼거리 - 여량공영버스정류장 - 고양리종점 →-여량공영버스정류장 - 새치 - 봉정리 - 봉정.웃말 | 왕복 1회 | 정선행 방면 만 문화마을 경유 |
16 | 정선 | ↔ | 여곡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정선신협 - 용담교 - 정선레미콘 - 광석 ( →압골 → 망하 / ← 상평 ) → 송단 - 여곡 | 일 5회 | 여곡 방면 비행고개길 경유 정선 방면
정선로 경유 |
18 | 정선 | ↔ | 생탄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정선신협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레미콘 - 용탄1리 - 새대 - 봉양6리 - 생탄종점 | 왕복 4회 | 새대터널 붕괴로 우회운행 |
20 | 정선 | ↔ | 정선역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국민체육센터 - 녹송경로당 - 정선역(애산리) |
왕복 1회 | |
21 | 정선 | ↔ | 진부역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녹송경로당 - 정선역(애산리) - 내반점 - 아랫나전 - 북평터미널 - 북평1리 - 로미지안 - 파크로쉬앞 - 숙암 - 막동 - 독가교차로 - 수항 - 마평 - 신기 - 진부터미널 - 진부역 | 일 5회 | 평창군 |
21-1 | 정선 | ↔ | 진부역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녹송경로당 - 정선역(애산리) - 내반점 → (아랫나전 →
문화마을 → 용천횟집 → / ← 북평1리 ) ←북평터미널 - 로미지안 - 파크로쉬앞 - 숙암 - 막동 - 독가교차로 - 수항 - 마평 - 신기 - 진부터미널 - 진부역 |
일 1회 | 진부 방면 문화마을 경유
정선 방면 북평만 경유 |
23 | 정선 | ↔ | 숙암 | 정선공영버스터미널 - (정선농협 → / ← 정선신협) - 내반점 → (아랫나전→ / ← 어절 ← 문곡 1반 ← 문화마을 ← 북평1리 ← 북평터미널) - 로미지안 - 백석폭포 - 파크로쉬앞 - 숙암 | 왕복 3회 |
닫기
- 정선 ↔ 태백 구간을 운행하는 100번 노선을 제외하고 고한터미널을 기점으로 하여 운행한다.
- 정선군 대중교통정보 상에는 여러 가지 노선 번호를 사용하나 실질적으로는 다음 번호만 사용하고 있다.
- 고한터미널 : 일부 지역에서 고한터미널로 회차할 때 사용
- 상갈래 : 고한터미널 ↔ 상갈래
- 50번 : 고한터미널 ↔ 남면
- 60번 : 고한터미널 ↔ 만항
- 80번, 80-1번 : 고한터미널 ↔ 증산
- 90번 태백
- 통과한다.
자세한 정보 방면, 노선번호 ...
방면 | 노선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광덕 방면 |
10-1 | 고한터미널 | → | 광덕 | → | 고한터미널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사거리, 별어곡역, 낙동삼거리, 선평, 낙동, 광덕, 낙동, 선평, 낙동삼거리, 별어곡역, 남면사거리, 증산(민둥산역), 멀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 1회 | |
140 | 고토일 | → | 광덕 | → | 태백 | 고한종합운동장,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중고등학교, 사북시장,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사거리, 별어곡역, 낙동삼거리, 선평, 낙동, 광덕, 낙동, 선평, 낙동삼거리, 별어곡역, 남면사거리, 증산(민둥산역), 멀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두문동,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 1회 | ||
고토일 방면 |
110 (111) |
도사곡 | → | 고토일 | → | 고한터미널 |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고한종합운동장, 고토일, 고한종합운동장 | 1회 | |
사북시장 | → | 고토일 | → | 고한터미널 |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고한종합운동장, 고토일, 고한종합운동장 | 1회 | |||
만항 방면 |
20-1 | 고한터미널 | → | 자미원 | → | 만항 |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사거리, 자미원, 남면사거리, 증산(민둥산역), 멀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못골 | 1회 | 고한터미널에서 만항까지 연계 운행 |
60 (60-1) (90-3) |
고한터미널 | → | 만항 | → | 고한터미널 |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못골, 만항, 못골,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 3회 | 두번째 운행차량은 자미원 노선에서 연계 1회 고한터미널 방면 운행시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 |
고한터미널 | → | 만항 | → | 증산 (민둥산역) |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못골, 만항, 못골,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사북보건지소,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멀미 | 1회 | 증산 방면 운행시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 ||
백전 방면 |
120 | 고한터미널 | → | 백전 | → | 상갈래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사북역, 사북시장, 사북중고등학교, 산수빌, 영동아파트, 범바위, 백전(합수거리), 범바위, 영동아파트, 사북중고등학교, 사북시장, 도사곡아파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 1회 | 상갈래 운행종료 후 71번으로 운행 |
40 (40-1) (40-2) |
고한터미널 | → | 백전 | → | 고한터미널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사북역, 사북시장, 사북중고등학교, 산수빌, 영동아파트, 범바위, 백전(합수거리), 범바위, 영동아파트, 사북중고등학교, 정선군립병원 | 1회 | ||
상갈래 | → | 백전 | → | 고한터미널 |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사북역, 사북시장, 사북중고등학교, 산수빌, 영동아파트, 범바위, 백전(합수거리), 범바위, 영동아파트, 사북중고등학교, 정선군립병원 | 2회 | |||
호명 방면 |
130 | 고한터미널 | → | 호명 | → | 증산 (민둥산역)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직전리, 피네, 호명, 피네, 직전리, 도사곡아파트, 사북시장, 사북중고등학교, 사북시장, 멀미 | 1회 | 증산에서 회차 후 상갈래까지 운행 |
31-1 | 고한터미널 | → | 호명 | → | 고한터미널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직전리, 피네, 호명, 피네, 직전리, 도사곡아파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 1회 | ||
30-2 | 고한터미널 | → | 호명 | → | 상갈래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직전리, 피네, 호명, 피네, 직전리, 도사곡아파트,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 1회 | 상갈래에서 회차 후 고한터미널까지 운행[4] |
닫기
자세한 정보 노선번호, 운행구간 ...
노선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90 | 태백 | → | 고한터미널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 편도 4회 | |
90-1 | 고한터미널 | → | 태백 |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두문동,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 편도 3회 | |
90-2 | 태백 | → | 고한터미널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사북보건지소 | 편도 1회 |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
100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정선읍내 경유 |
100-1 | 정선 | → | 태백 | 덕우리, 낙동삼거리, 남면(별어곡역), 증산(민둥산역), 멀미, 도사곡, 사북시장, 고한터미널,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두문동,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 편도 6회 | 정선읍내 미경유 |
100-2 | 정선 | → | 태백 | 덕우리, 낙동삼거리, 남면(별어곡역), 증산(민둥산역), 멀미, 도사곡, 사북시장, 정선군립병원, 고한터미널, 고한사북보건지소,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역, 중갈래, 상갈래, 두문동, 이마트, 태백운전면허시험장 | 편도 1회 |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
100-3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사북보건지소,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정선읍내 경유 |
100-4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사북주공아파트,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사북주공아파트(도사곡아파트) 경유 정선읍내 경유 |
100-5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2회 | 정선읍내 경유 |
100-6 | 태백 | → | 정선 | 태백운전면허시험장, 이마트, 두문동, 상갈래, 중갈래, 고한역, 하이원리조트입구, 고한사북보건지소, 고한터미널,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고한사북보건지소 경유 정선읍내 경유 |
100-7 | 고한터미널 | → | 정선 | 정선군립병원, 사북시장, 도사곡, 멀미, 증산(민둥산역), 남면(별어곡역), 낙동삼거리, 덕우리, 보건소, 정선5일장 | 편도 1회 | 정선읍내 경유 |
닫기
자세한 정보 기·종점, 행선지 ...
기·종점 | 행선지 |
---|---|
고한 기점 | 고토일, 자미원, 남면, 정선, 자뭇골, 호명, 백전1리, 만항, 상갈래, 태백 |
닫기
마을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운행업체 ...
닫기
- 노추산마을버스 운임
이 마을버스는 학생 요금이 없다.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5] 운임 할인 유무는 알려지지 않았다.
자세한 정보 구분, 구간 ...
구분 | 구간 | 현금 (원) |
---|---|---|
마을 | 종량동 ↔ 구절리 중동 ↔ 구절리 |
800 |
구절리 ↔ 여량 | 1000 | |
중동 ↔ 여량 | 1300 | |
종량동 ↔ 여량 | 1500 |
닫기
자세한 정보 노선, 운행업체 ...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임계 ~ 골지리, 반천리 | 고양산마을버스 | 임계터미널 | ↔ | 고양리입구(노나무) | 왕복 3회 | ||
고양리종점 | 고양리입구(노나무) | 왕복 1회 | |||||
봉정리, 성북, 고양리입구(노나무) | 왕복 1회 | 임계 방면 성북 미경유 |
닫기
- 고양산마을버스 운임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5] 운임 할인 유무는 알려지지 않았다.
자세한 정보 구분, 구간 ...
구분 | 구간 | 요금 (원) | ||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마을 | 고양리종점 ↔ 임계터미널 | 2,000 | 1,800 | 1,000 |
골지삼거리 ↔ 임계터미널 | 1,300 | 1,100 | 650 | |
고양리입구 ↔ 임계터미널 | 1,800 | 1,600 | 900 | |
반천리 ↔ 임계터미널 | 1,700 | 1,500 | 850 | |
반천리 ↔ 고양리종점 | 1,000 | 800 | 500 |
닫기
- 운치마을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운행업체 ...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예미 ~ 운치 | 운치마을버스 | 예미 | ↔ | 덕천리 | 왕복 1회 | ||
운치2리 | 왕복 4회 | ||||||
닫기
- 그림바우마을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운행업체 ...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횟수 | 비고 | ||
---|---|---|---|---|---|---|---|
건천리 ~ 북동리 | 그림바우마을버스 | 건천리 | ↔ | 건천리 | 제동골(몰운2리), 화암면사무소, 북동리(함바위), 화암면사무소, 화암4리, 화암면사무소, 제동골(몰운2리) | 2회 | |
닫기
- 그림바우마을버스 운임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5] 운임 할인 유무는 알려지지 않았다. 기본 요금은 1,000원이며 학생에 속하는 초등학생 및 중·고등학생(청소년)은 50% 할인된다.
자세한 정보 구분, 구간 ...
구분 | 구간 | 요금 (원) | |
---|---|---|---|
성인 | 학생 | ||
마을 | 건천리 ↔ 몰운2리(본동) | 1,000 | 500 |
건천리 ↔ 몰운2리(제동) | 1,500 | 750 | |
건천리 ↔ 화암면사무소 | 2,500 | 1,250 | |
건천리 ↔ 화암3리(오산) | 3,500 | 1,750 | |
건천리 ↔ 북동리(마을회관) | 4,500 | 2,250 | |
건천리 ↔ 북동리(함바위) | 4,500 | 2,250 | |
건천리 ↔ 화암4리 | 3,500 | 1,750 | |
닫기
Remove ads
사진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