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신궁주

고려의 공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신궁주(貞信宮主, ? ~ 1421년 이후)는 고려(高麗)의 공주(公主)이다. 고려 공양왕(高麗 恭讓王)과 순비 노씨(順妃 盧氏)의 둘째 딸이다.

간략 정보 정신궁주貞信宮主, 재위 ...
Remove ads

생애

가계

고려의 마지막 인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차녀이며, 생년은 명확하지 않다. , 본관개성이다.

정신궁주의 아버지 공양왕은 신종의 7대손으로, 1389년(공양왕 원년) 창왕을 폐위시킨 이성계 일파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공양왕 즉위 후에도 실권은 이성계 일파에게 있었고, 1392년(공양왕 4년) 마침내 이성계가 새 왕조 조선을 세우면서 고려는 그 막을 내리게 된다. 공양왕은 1394년(조선 태조 3년) 사사되었다[1]. 한편 숙녕궁주의 어머니 순비 노씨는 창성군 노진의 딸로, 1389년(공양왕 원년)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정신궁주를 비롯한 1남 3녀를 낳았다[2].

공주 시절

정신궁주는 공양왕 즉위 이듬해인 1390년(공양왕 2년) 음력 윤4월 17일 다른 두 자매와 함께 궁주로 책봉되어 정신궁주(貞信宮主)에 봉해졌다[3]. 이후 궁주는 단양군에 봉해진 우성범과 혼인하였으나[4], 남편 우성범은 1392년(조선 태조 원년) 참형당했다[5].

이후 궁주는 1421년(조선 세종 3년) 음력 1월 13일 공양왕릉을 수호하는 종을 둘 것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1421년 이후에 사망한 듯 하다[6]. 정신궁주(貞信宮主)이며, 자녀 등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Remove ads

가족 관계

정신궁주는 단양 우씨 우성범과 혼인하였다. 우성범은 찬성사를 지낸 우현보의 손자이며, 첨서밀직사사를 지낸 우홍수의 아들이다. 우성범은 1390년(공양왕 2년) 세자시학에 제수되었으나[5], 1392년(공양왕 4년) 공양왕이 폐위되자 손아랫동서 강회계와 함께 이성계 일파에게 참수되었다[7].

한편 우성범의 아버지 우홍수도 이 해 음력 8월 23일 모함을 받아 처형되었는데, 태종 때 편찬된 《태조실록》에는 정도전이 사감을 가지고 모함을 하여 죽음에 이르게 했다고 적고 있다[8].

  • 부왕 : 제34대 공양왕(恭讓王, 1345~1394, 재위:1389~1392)
  • 모후 : 순비 노씨(順妃 盧氏, 생몰년 미상)
  • 시아버지 : 우홍수(禹洪壽, 1355~1392)
Remove ads

외부 링크

출처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