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윤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윤의(鄭允宜)는 정배걸의 7세손으로 벼슬이 봉익대부(奉翊大夫)에 이르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정윤의(鄭允宜) : 배걸의 7세 손이다. 벼슬이 봉익대부(奉翊大夫)에 이르렀다. 충경왕(忠敬王) 무진년 과거에 둘째에 합격하였다.

이인복묘지명

문열공(文烈公;이조년)은 나이가 약관(弱冠)이 되기도 전에 풍채가 준수하고 기상이 늠름하였다. 그래서 초계(草溪) 정윤의(鄭允宜)가 부사(府使)로 부임했을 적에 공을 한 번 보자마자 비범한 인재임을 알아채고는 자기의 딸을 공에게 시집보내기까지 한 것이었다. 그런데 과연 얼마 지나지 않아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오른 뒤로 명성이 날이 갈수록 중해졌다.(이하 생략, 이인복은 문열공 이조년의 아들이다)

한시작가작품사전

정윤의(鄭允宜) : 고려 충숙왕 때 문관. 본관 草溪(초계). 충렬왕 때 문과 급제하여 密直提學(밀직제학)을 역임했다.이 작가의 작품은 아래와 같다.

  • 서강성현사
書江城縣舍(서강성현사;강성현의 관사에서 글을 쓰다)

凌晨走馬入孤城(능신주마입고성)-이른 새벽 말을 달려 외로운 성에 드니, 籬落無人杏子成(이락무인행자성)-울타리 곁에 사람은 없는데 살구는 달렸구나. 布穀不知王事急(포곡부지왕사급)-뻐꾸기는 나랏일 급한 줄도 모르면서, 傍林終日勸春耕(방림종일권춘경)-온종일 숲 곁에서 봄 밭갈이 하라고만 권하네

어구(語句) 江城縣 : 경상상남도 山淸郡(산청군)의 옛 이름. 신라 때 闕支郡(궐지군)으로 고려 초에 강성현으로 고쳤고, 1914년 산청군이 되었음 縣舍 : 고을의 官舍(관사) 凌晨 : 호된 새벽. 이른 새벽 籬落 : 울타리 杏子 : 살구 布穀 : 뻐꾸기. 포곡조. 郭公鳥(곽공조). 看蠶看火鳥(간잠간화조). ‘포곡, 곽공, 간잠간화’는 모두 뻐꾸기가 우는 소리를 擬聲(의성)한 말임 王事 : 왕이 하는 일 조정의 사무 春耕 : 봄의 논밭갈이

감상(鑑賞) 산골 고을 강성현 관사의 벽에 지어 쓴 시 같다. ‘이른 새벽에 외딴 성 같은 강성의 고을 현사에 오니, 인적은 없고 살구만 달려 있다. 뻐꾸기는 나라의 할 일 많은 줄도 모르면서 숲에서 종일토록 빨리 밭을 갈아 곡식을 심으라고 포곡포곡 하고 울고 있다.’는 것이다. 한적하고도 평화로운 시골 풍경이 연상되는 좋은 시로, 뻐꾸기 울음소리를 의성화하여 농사철임을 여실히 포착했다.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