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은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은보(鄭恩甫, 1961년 8월 18일~)는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공공기관 경영인이다. 2019년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한국 측 수석대표로 임명되어 2021년 3월 협상 타결을 이끌었고,[3][4] 제14대 금융감독원 원장(2021–2022), 제8대 한국거래소 이사장(2024– )을 역임·재직하고 있다.[5][6]

간략 정보 정은보정은보, 출생 ...
간략 정보 정은보 ...
간략 정보 정은보, 임기 ...
Remove ads

생애와 교육

경상북도 청송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1996)를 받았다.[5] 박사논문은 증거금 규제가 단기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모형으로 분석하였다.[7]

주요 활동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제11차, 2020–2025)

2019년 9월 수석대표로 임명되었고,[3][8] 2020년 1월 워싱턴 회의 등 실무 협상을 주도하였다.[9] 2020년 11월에는 도나 웰튼 미측 대표와 화상협의를 진행하며 공백 해소를 위한 합의를 모색했다.[10] 2021년 3월 5–7일 워싱턴에서 열린 9차 회의에서 원칙적 합의에 이르렀고,[11] 3월 18일 한미 2+2 회담 계기에 잠정 합의안이 공동발표되었다.[12] 같은 해 4월 8일 6년 유효의 협정에 정식 서명되었다.[13] 2021년 분담금은 전년 대비 13.9% 인상(1조 1,833억 원)되었고, 2022–2025년에는 한국 국방비 증가율 연동 산식이 적용되었다.[14][15] 협상 과정에서 미측의 대폭 증액 요구로 2019년 11월 회의가 조기 종료되는 등 난항도 있었다.[16] 협정 공백기 인건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조항(공백 시 전년도 수준의 한국인 근로자 인건비 지급 허용 등)이 문문화되었다는 평이 있다.[17]

금융감독원장 (2021–2022)

예방 중심의 감독, 법과 원칙에 기반한 예측가능성 제고를 천명하였다.[18] 2022년 6월 퇴임하였다.[19]

한국거래소 이사장 (2024– )

취임 직후 ‘코리아 밸류업 프로그램’ 지원과 시장 신뢰 회복을 핵심 과제로 제시하였다.[20] 2024년 9월 KRX Korea Value-up Index(100종목)를 출범시켜 관련 ETF·파생상품 상장을 연계했고,[21][22][23] 2025년에는 런던 사무소 개소와 뉴욕 사무소 개소로 해외 IR 채널을 확장하였다.[24][25]

Remove ads

정책 및 경영 기조

금융감독에서는 ‘‘사전 예방’’ 중심과 시장과의 소통을 통한 예측가능성 확보를 중시했다.[18] 거래소 경영에서는 불공정거래 근절, 주주가치 제고, 해외 IR 거점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26]

‘밸류업’ 지수의 설계·출범, 상장심사·상장폐지 절차 개선, 해외사무소 개소 등 제도·조직 변화를 추진하였다.[21][23][24][25]

국제 활동 · 대외 활동

SMA 협상에서는 한국 측 수석대표로서 2+2 회담 계기 가서명 절차를 진행했으며,[12][13] 거래소 이사장으로서 런던·뉴욕 사무소 개소와 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하였다.[24][25]

성과

  • 협정 공백 리스크 완화: 협정 공백 시 한국인 근로자 인건비 지급 허용 등 제도화.[17]
  • 산식 기반 분담금 연동: 국방비 증가율 연동 산식 적용(2022–2025).[14]
  • 자본시장 소통: 밸류업 지수 도입과 해외 IR 거점 확충.[21][24]

평가

경제·재정 배경을 바탕으로 협상·제도 설계에 수치와 조항을 결합하는 능력이 강점으로 평가된다.[8][14] 반면 분담금 인상 폭에 대한 논쟁과, 일부 정책·지수 설계에 대한 시장의 비판도 병존한다.[15][23]

논란 · 사건

  • 2025년 3월 KOSPI 시장 7분 거래중단: 정규장 중 전산 장애로 약 7분간 거래가 중단되어 감독·재발방지 대책이 논의되었다.[27][28]

퇴임 이후

금융감독원장 퇴임(2022년 6월) 직후 보험연구원 연구자문위원으로 위촉되었고,[29][30] 2024년 2월 한국거래소 이사장으로 선임되어 자본시장 제도·지수 인프라 개선과 해외 거점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6][20]

학력

경력

  • 1984: 제28회 행정고시(재경직) 수석 합격.[2]
  • 1985.03: 총무처 수습행정관(5급).[31]
  • 1987.07: 재무부 국제금융국 국제기구과.[31]
  • 1988.07: 재무부 증권국 증권정책과.[32]
  • 1991.05: 재무부 국고국 국유재산과.[31]
  • 1997.01: 재정경제원 예산실 예산정책과 / 1997.03 법사행정예산담당관실.[31]
  • 1998.03: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 금융협력과(총괄) / 1999.06 국제기구과(공공차관도입).[31]
  • 2000: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연구교수.[2]
  • 2001: 재정경제부 정책조정심의관실 조정2과장.[31]
  • 2003: 재정경제부 지역경제과장·경제정책국 인력개발과장.[33]
  • 2004.02: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장.[33]
  • 2005.02: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보험제도과장.[33]
  • 2006.08: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 금융정책과장.[33]
  • 2007.06: 재정경제부 FTA 국내대책본부 지원대책단장.[34][35]
  • 2008.03: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관.[31]
  • 2010.05: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31]
  • 2012.07–2013.04: 금융위원회 사무처장.[31]
  • 2013.04–2016.01: 기획재정부 차관보.[31]
  • 2016.01–2017.07: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겸 증권선물위원회 위원장.[1]
  • 2019.09–2021.03: 제11차 SMA 한국 측 수석대표(대사급).[8][4]
  • 2019.10–2020.10: 외교부 한미 방위비분담 협상대사(대외직명대사).[2]
  • 2021.08–2022.06: 제14대 금융감독원 원장.[5]
  • 2022–2023: 보험연구원 연구자문위원.[29][30]
  • 2024.02.15– : 제8대 한국거래소 이사장.[6][36]
Remove ads

논문

  • 정은보(Jeong, Eun-Bo). 1996. 〈The effects of margin requirements on stock prices in the short term〉(증거금 규제가 단기 주가에 미치는 영향).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OhioLINK: 링크.[7]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