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자역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분당선과 신분당선의 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자역(亭子驛, Jeongja station)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분당선, 신분당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분당선 개통 당시엔 백궁역이었으나, 성남시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됐다. 신분당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탄천 하저터널로 수내역과 연결된다.
Remove ads
역사
- 1994년 9월 1일 : 분당선 수서 - 오리 구간 개통과 함께 백궁역(栢宮驛)으로 영업 개시
- 2002년 9월 25일 : 정자역으로 역명 변경
- 2009년 2월 10일 : 신분당선 역명을 정자역으로 결정[1]
-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11년 10월 28일 : 신분당선 정자 - 강남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2012년 9월 18일 :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28.9km로 변경[2]
- 2014년 1월 13일 : 분당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 2015년 9월 4일 : 신분당선 정자 이남 구간 사용개시 고시[3]
- 2016년 1월 30일 : 신분당선 정자 - 광교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됨
Remove ads
역 구조
요약
관점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6개이다. 신분당선의 경우, 이 역과 미금역 사이에 분당선과의 연결 선로가 있으며, 신분당선 2단계 구간 및 광교차량사업소 개통 이전까지는 분당선의 분당차량사업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신분당선 전동차의 입·출고선으로 사용하였고, 현재도 일부 열차는 일부 검수를 위해 이 역에서 시·종착하여 입·출고한다. 서울 지하철 9호선과 같이 중간에 환승 게이트가 있다.
또한 기존 분당선은 정자역의 1~4번 출구만 한국철도공사 관할 출구에 해당되며, 탄천변과 마주보는 곳에 출구가 있다. 신분당선 관할 출구는 5~6번 출구로써 기존 분당선의 출입구보다 약간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5~6번 출구는 신분당선 운임 구역으로 곧바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개통 초기에는 분당선을 이용하고 5~6번 출구로 나갈 때 신분당선의 환승 통로에 설치된 환승 게이트를 통과하면 추가 요금(700원)이 지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는 분당선에서 분당선만 이용 후 신분당선 게이트를 통과하더라도 추가요금이 부과되지 않도록 개집표 프로그램이 수정되었다.[4] 단 1회권으로는 별도운임을 내지 않으면 여전히 이용이 안된다.
수인분당선 승강장
↑ 수내 |
| 1 |
미금 ↓ |
1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미금 · 죽전 · 기흥 · 수원 · 인천 방면 |
---|---|---|
2 | 수내 · 서현 · 모란 · 선정릉 · 청량리 방면 |
신분당선 승강장
↑ 판교 |
| 하 |
미금 ↓ |
Remove ads
역 주변
사진
이용객 변동
Remove ads
인접한 역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