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음
소리의 부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무음(無音)은 소리의 부재, 곧 들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침묵이라고도 한다.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가 없거나, 주의를 끌지 못할 정도로 낮은 강도의 소리가 방출되거나, 소리 생성이 중단된 상태이다. 후자의 의미는 말이나 다른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형태의 중단 또는 부재에 적용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1]

의식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침묵의 간격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종교 분야에서 사람들은 영적 변화를 위한 금욕적 수단으로 오랜 기간 동안, 심지어 남은 생애 동안 침묵을 유지한다.
소리를 내지 말라는 의미로 '쉿' 또는 '쉬'라는 감탄사를 사용한다.
Remove ads
예시
영화
음악
법
언어
연극
음향학
선불교
정신의학
관련 논문
- 서동은, 〈철학 상담에 있어 침묵의 역할에 대하여〉, 《현대유럽철학연구》 28,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년
- 문영식, 〈아우구스티누스의 능변과 침묵〉, 《철학논총》 94, 새한철학회, 2018년
- 석형락, 〈못 들은 척과 침묵 -김유정 문학에서 듣기의 양상과 그 의미〉, 《현대소설연구》 88,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년
- 김영진, 〈유마경의 격발성 언어 기교와 침묵의 대화법〉, 《동아시아불교문화》 59,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년
- 문희경, 〈그림책에 나타난 침묵의 미학적 기능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47, 한국아동문학학회, 2023년
- 백은미, 〈여성의 영적 성숙을 위한 침묵 수행〉, 《신학과 실천》 91, 한국실천신학회, 2024년
- 고대유·한명성, 〈집단주의 문화 및 조직 특성을 통한 침묵 유형 간의 차별성 조명- 체념적・방어적 침묵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보》 22-1, 한국지방행정학회, 2025년
- 김화경, 〈초연결 사회와 과잉의 디스토피아 - ‘침묵하기’를 통해 살펴본 인간다움에 대한 질문 -〉, 《동학학보》 73, 동학학회, 2025년
- 조홍진, 〈‘침묵’의 해석 - 사회사/역사사회학의 사료에서 드러나지 않는 목소리와 그 함의〉, 《사회와 역사(옛 한국 사회사학회 논문집)》 145, 한국사회사학회, 2025년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