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제너럴 아토믹스 어벤저

미국의 무인 공격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제너럴 아토믹스 어벤저
Remove ads

제너럴 아토믹스 어벤저(General Atomics Avenger)는 미국의 스텔스 무인 공격기이다.

Thumb

역사

제너럴 아토믹스는 1톤 MQ-1 프레데터, 5톤 MQ-9 리퍼에 이어 8톤 어벤저를 개발했다. 프레데터(프레데터-A), 리퍼(프레데터-B)는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하지만, 즉 프로펠러를 사용하지만, 어벤저(프레데터-C)는 터포팬, 즉 제트엔진을 사용한다.

스텔스 기능을 갖춘 어벤저는 프레데터 파생형 중 가장 성능이 뛰어나다. 프레데터 시리즈 중 최대 이륙중량을 자랑하며, 스텔스 임무에 맞게 S자 형태의 매끄러운 외형을 갖추고 있다. 기체 상부에는 터보팬 엔진도 탑재했다. 리퍼의 ‘헌터-킬러’에 장거리 및 중무장 능력을 갖춘 스텔스 무인기다. 미군은 ‘프레데터 C 어벤저-ER’도 개발했는데, 리퍼보다 50% 더 빠르고 더 높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적의 레이더망을 완전히 무력화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1]

2017년 초, 인도 공군은 미국 제너럴 아토믹스가 개발 중인 공격용 무인기 프레데터 C '어벤저' 80∼100대 구매를 원한다고 미국 정부에 요청했다.

Remove ads

내부무장창

1톤 MQ-1 프레데터(프레데터-A), 5톤 MQ-9 리퍼(프레데터-B)와 달리, 어벤저(프레데터-C)는 스텔스 전투기의 특징이라는 내부무장창을 갖고 있다. 3500파운드까지 폭탄을 장착할 수 있는데, 1991년 걸프전에서 악명높은 2000파운드 GBU-27 페이브웨이 III 폭탄 한 발을 장착할 수 있다.

일본

2018년 5월 9일, 제너럴 아토믹스는 일본 나가사키(長崎)현 이키(壹岐)시에 있는 이키공항에서 3주일 동안 MQ-9 가디언(프레데터-B) 시험비행을 했다. 일본이 구매할 것이라고 한다.

일본이 북한 미사일 기지와 이동식 발사대 등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미국제 최신형 스텔스 무인 공격기 '어벤저' 20여 대를 오는 2023년쯤부터 항공자위대에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2]

일본이 도입을 추진 중인 가디언과 어벤저는 모두 세계 중고도 무인기 시장의 절대강자인 미 제너럴 아토믹스 ASI사 제품이다.[3]

참수작전

김정은 참수작전에 가장 적합한 무인공격기로 어벤저가 지적되고 있다.[4] 보복 핵공격을 당해 멸망할 견해이기는 하지만, 어벤저의 성능을 그렇게 높게 평가하고 있다.

어벤저-ER

2016년, 제너럴 아토믹스는 어벤저를 개량해 체공시간 18시간을 20시간으로 늘린 어벤저-ER을 개발했다. 내부무장창의 폭탄이 3500파운드에서 3000파운드로 줄었다.

레이저포

2016년, 미 방산업체 제너럴아토믹스는 150kW 출력의 레이저 무기를 차세대 드론인 어벤저(프레데터 C형)에 장착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이 드론은 최고 마하 1.35로 비행하며, 최고 비행고도는 15.24km, 체공시간은 최장 18시간이나 된다. 이 회사는 지난 15년간 레이저포 연구도 해왔다. 제너럴아토믹스는 현재 이 레이저포를 뉴멕시코주 미사일 시험장 화이트샌즈에서 시험하고 있다.[5]

제너럴 아토믹스는 DARPA와 함께 HELLADS를 개발중이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