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제3군단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군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제3군단 (대한민국)
Remove ads

제3군단(第三軍團, 영어: ROK Army III Corps)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에 주둔하고 있는 지상작전사령부 예하 대한민국 육군군단이며, 상징명칭은 산악부대(山嶽部隊)이다.

간략 정보 활동 기간, 국가 ...

역사

Thumb
제3군단 지구 시찰에 나선 이승만 대통령을 환영하는 인파 (1954년)

한국 전쟁 도중, 1950년 10월 16일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에서 이형근 소장이 초대 군단장에 임명되고 제9사단, 제11사단을 편성하여 창설되었다.[1]

1951년 5월 16일, 창촌으로 철수하던 제9사단이 중국인민지원군의 2개 군단에 의해 오마치 고개가 점령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5월 17일, 반격을 포기하고 현리에 집결하여 오마치 고개를 돌파하려 했으나, 조선인민군 제5군단, 제12군단, 제27군단의 공세에 대응하지 못하고 퇴각 작전은 실패하였다. 작전이 실패하면서 군단은 전투 의지와 통제를 잃었으며 후퇴하는 도중, 군단장 유재흥 소장이 지휘권한을 버리고 항공기로 이탈하였으며 5월 22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까지 후퇴하였다. 1951년 5월 26일 미국 제8군 지휘관 제임스 밴 플리트 대장이 책임을 물어 유재흥의 직위를 박탈하고 3군단을 해체시켰다. 군단의 예하 부대인 제3사단, 제5사단, 제9사단제11사단은 각각 제8군 예하로 배속되었다.[2][4]

1953년 5월 1일, 강문봉 소장을 군단장으로 임명하고 제20, 22사단을 예속받아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재창설되었다.[3] 같은해 12월 15일, 제1야전군 예하 소속 군단이 되었다.

1972년 7월 27일 소양강댐이 건설되어 주둔지인 관대리가 물에 잠기자 부대를 이전하였다.

2019년 11월 29일, 군단 군악대가 창설되었다.[5]

Remove ads

편제

구성 부대
예하 부대
지원 부대
  • 제13항공단 - 3군단 직할 항공단
  • 제13화생방대대
수송부대
  • 제603수송대대

역대 지휘관

Thumb
수상침투훈련 중인 제3군단 장병들
Thumb
과학화전투훈련 중인 제3군단 장병들
자세한 정보 #, 성명 ...

같이 보기

출처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