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제509폭격비행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509폭격비행단(509th Bomb Wing)은 미주리주 캔자스 시티 동남쪽 110 km에 위치한 화이트맨 공군기지에 주둔하고 있는 미국 공군 제8공군 소속의 전략폭격기 비행단이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히로시마에 리틀 보이 원자폭탄을 투하한 B-29 폭격기 에놀라 게이가 제509폭격비행단 제509혼성비행전대 산하 제393폭격비행대대 소속이다.
현재 제509폭격비행단은 산하 작전전대에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와 T-38 탤론 훈련기를 운용하는 3개 비행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Remove ads
역사

제509폭격비행단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미국 육군 항공대가 미국 공군으로 독립한지 얼마 되지 않은 1947년 11월 3일에 제509혼성비행전대를 중심으로 창설 및 11월 17일에 조직되었다.
1948년 7월에 공중 급유 임무가 추가되었다. 로스웰 공군기지에서 제509공중급유비행대대(509th AREFS)가 7월 12일에 창설되어 제509폭격비행전대 산하 부대로 지정되었다.[1]
1952년 6월 16일, 제509혼성비행전대가 해산하였다.
1969년 12월 1일, 제5폭격비행단, 중(中)형으로 개편되고, 전천후 전략 폭격기 FB-111A를 지급받기 시작하였다.
국방부에서 열린 1988년 기지 재배치 및 폐쇄 위원회의 결론에 따라 피어스 공군기지의 폐쇄가 결정되었다. 제5903폭격비행단은 1988년 9월 30일, 화이트먼 공군기지로 이사하였다.
1993년 3월 12일, 제509혼성비행전대가 단의 작전부대인 제509작전전대로 재소집되었다.
2001년 9월 11일 공격으로 미국은 탈리반과 알카에다을 섬멸하고자 테러와의 전쟁을 시작하였다. 가장 먼저 아프가니스탄 영공에 진입한 B-2 폭격기 부대이다.
2015년 6월 5일, 히로시마시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이놀라 게이의 조종사 폴 W. 티비츠 주니어 준장의 손자인 폴 W. 티비츠 4세가 단장에 취임하여, 2017년 7월까지 근무하였다.[2]
Remove ads
산하 부대
현재
- 제509작전전대
- 제13폭격비행대대
- 제393폭격비행대대
- 제509작전지원대대
- 제509정비전대
- 제709탄약대대
- 제509탄약대대
- 제509정비작전대대
- 제509정비대대
- 제509항공기정비대대
- 제509임무지원전대
- 제509전력지원대대
- 제509토목건설대대
- 제509군수대응대대
- 제509보안전력대대
- 제509계약대대
- 제509통신대대
- 제509의무전대
- 제509의무작전대대
- 제509의무지원대대
- 참모 기관
- 감시대대
- 제509폭격비행단 산하 대대의 문장
- 제509항공기정비대대
- 제509토목건축대대
- 제509교신대대
- 제509감찰대대
- 제509계약대대
- 제509전력지원대대
- 제509군수대응대대
- 제509군수지원대대
- 제509정비대대
- 제509의무작전대대
- 제509의무지원대대
- 제509군수대대
- 제509작전지원대대
- 제509경비전력대대
- 제509근무대대
이전
Wing
- 제33전투비행단; attached 1947년 11월 17일 – 1948년 11월 15일
Groups
- 제33전투비행단: attached 1947년 11월 17일 – 1948년 11월 15일
- 제509폭격비행전대(이후의 제509작전전대): 1947년 11월 17일 – 1952년 6월 16일; 1993년 7월 15일 – 현재
Squadrons
- 제34공중보급비행대대; 1966년 6월 25일 – 1976년 3월 31일
- 제393폭격비행대대; attached 1947년 11월 17일 – 1948년 9월 14일, attached 1951년 2월 1일 – 1952년 6월 15일 assigned 1952년 6월 16일 – 1990년 9월 30일 (detached 1953년 6월 18일 ~ 9월 18일)
- 제509공중보급비행대대;
- attached 1948년 7월 19일 ~ 9월 14일; 1951년 2월 1일 – 1952년 6월 15일
- assigned 1952년 6월 16일 – 1958년 1월 5일
- detached 1954년 7월 10일 ~ 11월 15일 1955년 6월 14일 ~ 8월 5일 1957년 2월 27일 ~ 5월 1일 1958년 7월 8일 – 1965년 6월 25일 assigned 1966년 10월 2일 – 1990년 7월 1일
- 제661폭격비행대대: 1959년 3월 1일 – 1962년 1월 1일
- 제715폭격비행대대 attached 1947년 11월 17일 – 1948년 9월 14일; 1951년 2월 1일 – 1952년 6월 15일 assigned 1952년 6월 16일 – 1966년 6월 25일; 1970년 1월 1일 – 1990년 9월 30일
- 제830폭격비행대대 attached 1947년 11월 17일 – 1948년 9월 14일, 1951년 2월 1일 – 1952년 6월 15일; 1952년 6월 16일 – 1966년 6월 25일 detached 1953년 3월 15일 ~ 6월 19일
- 제900공중급유비행대대: 1966년 4월 2일 ~ 6월 25일
Remove ads
기록
계보
- 1947년 11월 3일, 509th Bombardment Wing, 초중(Very Heavy)급으로 설립되었다.
- 1947년 11월 17일, 조직되었다.
- 1948년 8월 1일, 509th Bombardment Wing, 중(中)급으로 재지정되었다.
- 1966년 4월 2일, 509th Bombardment Wing, 중(重)급으로 재지정되었다.
- 1969년 12월 1일, 509th Bombardment Wing, 중(中)급으로 재지정되었다.
- 1990년 9월 30일, 509th Bombardment Wing, 중(重)급으로 재지정되었다.
- 1991년 9월 1일, 509th Bomb Wing으로 재지정되었다.[3]
기지
- 뉴맥시코주 로스웰 육군 비행장 (이후의 로스웰 공군기지, 워커 공군기지); 1947년 11월 17일
- 뉴햄프셔주 피어스 공군기지; 1958년 7월 1일
- 미주리주 화이트먼 공군기지; 1990년 9월 30일 – 현재
기종
- 노스아메리칸 F-51 머스탱; 1947년–1948년
- 리퍼블릭 F-84 썬더제트; 1948년
-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1947년–1952년
- 보잉 B-50 슈퍼포트리스; 1949년–1951년
-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탱커); 1951년–1954년
- KC-97 Stratofreighter; 1954년–1958년, 1958년–1965년
- 보잉 B-47 스트래토젯; 1955년–1965년
- 보잉 B-52D 스트라토포트리스; 1966년–1969년
- 보잉 KC-135 스트래토탱커; 1966년–1990년
- 제너럴 다이내믹스 FB-111A; 1970년–1990년
- 노스럽 그러먼 B-2 스피릿; 1993년–현재
- 노스럽 T-38 탤론; 1993년–현재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