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조구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조구래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2024년 5월 외교부 본부 직제 개편으로 신설된 외교전략정보본부[1]의 초대 본부장(차관급)으로 재직하고 있다. [2][3] 조구래는 초대 본부장으로서 북핵·인권·국제안보 의제에 관한 한·미·일 고위급 협의를 주도하였다. 본부는 전략정책·외교정보·한반도정책·국제안보 등 4개 국을 관할한다.[4][5][6][2][3][7][8]
Remove ads
생애와 교육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9]
주요 활동
- 2024년 10월 10일: 미국 대북인권특사 및 국제형사정의 담당 대사를 서울에서 면담하고 북한 인권 공조 방안을 논의하였다.[7]
- 2024년 12월 9일: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회의에 한국 측 수석대표로 참석하였다.[8]
- 2024년 12월 9~10일: 회의 계기 양자 면담을 각각 진행하였다(일본 아시아대양주국장, 미국 동아태 담당 차관보).[8][10]
- 2024년 6월 23일: 북러 협력 관련 한·미·일 고위 당국자 공동성명을 발표하였다(대한민국 측 명의 표기 포함).[11]
- 2025년 6월 13일: 미국 국무부 동아태국 고위관리(Sean O’Neill)와 서울에서 정책 공조를 논의하였다.[12]
정책 방향
본부장 재임 중 인권·안보 연계 접근법을 강조하고, 한·미 및 한·미·일 공조를 통한 대북 인권 및 비핵화 의제의 병행을 추진하였다.[7][8] 조직 차원에서는 정보·전략 기능을 하나의 본부로 통합하여 정책 민첩성과 분석 역량을 강화하는 구조를 운용한다.[2]
평가와 영향
외교부 본부 개편 이후 전략·정보·정책 기능이 동일 라인에서 조정되면서 동맹·파트너와의 고위급 채널 운영이 체계화되었다는 평가가 제기된다.[3] 국제무대에서는 한·미·일 3자 틀을 활용한 연속 회의체 운영이 확인되었다.[8]
경력
- 1991년: 외무부 외무사무관으로 공직 입문
- 1993년: 외무부 감사관실 외무사무관
- 2000년 6월: 주이스라엘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6등급 외무공무원)
- 2002년 12월: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7등급 외무공무원)
- 2006년 7월: 외교통상부 북핵외교기획단 제2과장(8등급 외무공무원)
- 2008년 3월: 외교통상부 북미국 제2과장
- 2008년 12월: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
- 2011년 7월: 주파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9등급 외무공무원)
- 2014년 1월: 외교부장관 정책보좌관(정책기획)
- 2015년 3월: 외교부 북미국 심의관(10등급 외무공무원)
- 2016년: 외교부 인사기획관
- 2017년 2월: 외교부 북미국장(11등급 외무공무원)
- 2018년 4월 ~ 2021년 11월: 주 튀니지 특명전권대사(문재인 정부, 12등급 외무공무원)
- 2021년 11월 ~ 2023년 3월: 국회 외교특임대사
- 2023년 3월 ~ 2024년 5월: 외교부 기획조정실장(13등급 외무공무원)
- 2024년 5월 28일 ~ 현재: 외교부 외교전략정보본부 초대 본부장(차관급, 14등급 외무공무원)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