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조남준

연구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조남준(Nam-Joon Cho)은 난양 이공대학(NTU) 재료과학·공학과 석좌교수(MRS‑Singapore Chair Professor)로, 식물 꽃가루를 연성 소재로 전환하는 공정과 지질막을 표적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펩타이드 기술을 개척한 한국계 재료과학자이다.[1][2] 그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고 NTU에 부임했으며, 전염병 대응을 위한 미국 NIH 지원 스탠퍼드 의대 AViDD 센터 프로젝트 리더를 겸한다.[3] 또한 싱가포르 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SG) 회장을 지냈다.[4][5]

간략 정보 조남준조남준, 출생 ...
간략 정보 조남준 ...
Remove ads

생애와 교육

조남준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토목공학 학사(1996)를 취득하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재료과학·공학 석사(2003)와 화학공학 박사(2006)를 받았다.[6] 박사후연구원 기간에는 스탠퍼드 의과대학(소화기내과·간장학)에서 바이러스 단백질–지질막 상호작용을 마이크로공정·계면과학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6] 2011년 싱가포르 국립연구재단(NRF) 펠로우로 선정되어 NTU에 부임했고, 2016년 테뉴어를 받았다.[7]

학문적 배경과 연구 철학

그의 연구는 재료과학·화학공학·의학을 잇는 '교차' 접근을 표방하며, 분자 계면에서의 현상을 임상·산업 문제로 번역(translation)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 그는 NTU 총장실 산하 Flagship Programmes 디렉터로 일하며 학제 간 대형과제를 설계했고, '교차경제(Cross Economy)' 개념을 통해 환경·보건 사이의 경계를 넘는 소재 혁신을 제안하였다.[1][9]

연구 분야와 핵심 개념

  • 지질막·바이러스 계면과학: QCM‑D 등 정량기법으로 지질 이중막 형성과 막교란 현상을 규명하고, 막외피(엔벨로프)를 표적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전략을 정립하였다.[10][11]
  • 식물 꽃가루 기반 연성소재: 단단한 꽃가루 겉껍질을 화학·물리 처리로 연성 하이드로겔·스펀지·종이로 전환하여 플라스틱 대체재, 유분 흡착재, 자외선 차단소재 등으로 응용하였다.[12][13]
  • 전이·임상 지향 공정: 전통 한옥 흙다짐(흙벽) 원리를 미세제조에 접목해 생체친화 공정·장치로 확장하는 등 지역 전통기술에서 영감을 얻는 설계를 시도한다.[14]

대표 연구 성과

  • 2020년 꽃가루를 연성소재로 바꾸는 원리를 규명하고 친환경 소재화의 가능성을 제시했다.[12] 이후 스펀지·종이로 확장해 유분 정화 및 일회용품 대체 응용을 제시하였다.[13][15]
  • 막외피 바이러스에 대한 '막 표적' 광범위 항바이러스 전략을 체계화하고 팬데믹 대비 관점에서 나노기술 경로를 정리하였다.[11] 이 전략은 NIH‑NIAID 지원 스탠퍼드 SyneRx AViDD에서 후보물질 발굴·비임상으로 이어졌다.[1][3]
  • MOE AcRF Tier 3(프로그램명: From Tough Pollen to Soft Matter)를 수주해 꽃가루 기반 소재의 기초·응용 연구를 진행하였다.[2]

산업·정책 연계

조남준은 'Centre for Cross Economy' 디렉터로 폐자원·바이오자원을 연결하는 소재 생태계를 제안하고, 싱가포르에서 공공‑민간‑대학 협력 모델을 강조하였다.[9][16] 또한 NIH AViDD 프로젝트 리더로서 학계‑병원‑기업 연계를 주도한다.[3] 2022년 "한국 대학의 정량평가·경직적 테뉴어·지원금 분절 구조가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비판을 제기하였다.[17] 또한 "아시아 톱 수준 연구환경에서 스타 교수의 연봉·연구비 패키지가 높다"며 한국 연구생태계의 구조개선을 제언하였다(조선일보, 2025.11.8).[18]

학술 편집·자문

  • Nature Portfolio의 npj Biosensing 편집진으로 활동한다.[1]
  • 한국·싱가포르·헝가리 등에서 과학기술 정책 자문으로 참여하였다고 소개된다.[19]

학력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토목공학 학사(1996)[6]
  • 스탠퍼드 대학교 재료과학·공학 석사(2003)[6]
  • 스탠퍼드 대학교 화학공학 박사(2006)[6]

경력

  • 2007–2010: 스탠퍼드 대학교 의과대학, 박사후연구원(소화기내과·간장학)[6]
  • 2011–현재: 난양공과대학교 재료과학·공학과, 교수(2011년 Nanyang Associate Professorship·NRF Fellow, 2016년 테뉴어, 현 MRS‑Singapore Chair Professor)[7][1]
  • 2018–2024: 싱가포르 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SG) 회장[4][5]
  • 2022–현재: 스탠퍼드 의대 SyneRx AViDD 센터 프로젝트 리더·PI[3]
  • 2023–현재: NTU 총장실 Flagship Programmes 디렉터·Centre for Cross Economy 디렉터[1][9]

주요 연구비·프로그램

자세한 정보 연도, 프로그램/기관 ...

논문

  • 판텅페이; 박수현; 시치엔; 장싱위; 류치민; 조남준; 황싱총; 리화; 송주하; 수브라 수레시. (2020). "단단한 꽃가루의 연성화: Transformation of hard pollen into soft matter". Nature Communications 11(1). doi:10.1038/s41467-020-15294-w.
꽃가루의 단단한 구조를 화학적 처리로 부드럽게 바꾸는 방법을 제시한다. 처리 전후의 미세구조와 물성을 다양한 도구로 검증한다. 종(species)에 따른 반응 차이와 공정 변수의 역할을 정량화한다. 연성화된 꽃가루가 젤과 종이 같은 일상 소재로 가공될 수 있음을 보인다. 플라스틱 대체 관점에서 응용 가능성을 열었다.
  • 윤보경; 전원용; 숫툰나우; 조남준; 잭맨 조슈아 A. (2021). "막외피 바이러스의 지질막을 표적으로 한 나노기술 전략: Stopping Membrane‑Enveloped Viruses with Nanotechnology Strategies". ACS Nano 15(1): 125–148. doi:10.1021/acsnano.0c07489.
지질막을 가진 바이러스의 공통 취약점을 정리한다. 막곡률·전하·지질조성 등 물리화학적 인자를 통합해 표적화 원리를 설명한다. 펩타이드·지질·나노입자 기반 억제 전략을 비교한다. 독성·내성·전임상 지표를 체계화해 개발 로드맵을 제시한다. 팬데믹 대비에서 범용 치료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구스타보 안헬 발레-곤살레스; 잭맨 조슈아 A.; 윤보경; 박수현; 숫툰나우; 조남준 (2021). "꽃가루 스펀지의 3차원 콜로이드 공정: Colloid‑Mediated Fabrication of a 3D Pollen Sponge for Oil Remediation".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31(44). doi:10.1002/adfm.202101091.
꽃가루 입자를 콜로이드적으로 조립해 스펀지를 만든다. 공극률·기계적 강도·흡유율을 최적화한다. 반복 사용성을 실험으로 입증한다. 해양 유출 오일 정화 시나리오를 모사한다. 친환경 정화소재로의 경로를 보여준다.
  • 후크 프레드릭; 카세모 벵트; 프랭크 커티스 W.; 조남준 (2010). "QCM‑D로 지지 지질 이중막을 분석하는 방법: Quartz crystal microbalance with dissipation monitoring of supported lipid bilayers". Nature Protocols 5(6): 1096–1106. doi:10.1038/nprot.2010.65.
석영 결정 마이크로저울(QCM‑D)을 이용한 지질막 분석 절차를 표준화한다. 설정값·시료 준비·데이터 해석을 단계별로 정리한다. 물리적 흡착과 막형성의 경계 조건을 제시한다. 지질 종류·이온강도·온도 효과를 비교한다. 막단백질 상호작용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다.
Remove ads

수상과 임용

  • 싱가포르 국립연구재단(NRF) 펠로우십(2011)[20]
  • MRS‑Singapore Chair Professor 임용(재료과학·공학과)[1]

대외 활동

  • 싱가포르 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SG) 회장(4기)[4][5]
  • 제주포럼·세계기후경제포럼 등에서 '교차경제' 강연.[21]

창업 및 기술사업화

조남준은 2020년 루카에이아이셀(LUCA AICell)을 공동 설립해 막표적 항바이러스 후보물질과 지질나노입자(LNP) 기반 기술의 사업화를 추진하였다.[22][23]

연표

연표 (펼치기)
자세한 정보 연도, 사건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