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map
Remove ads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朝鮮王朝實錄 赤裳山史庫本)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왕조실록이다.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2019년 6월 26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51-4호로 지정되었다.

Remove ads

개요

요약
관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 태조(太祖)에서부터 조선 철종(哲宗) 때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編年)으로 정리한 책이다. ‘성종대왕실록(成宗大王實錄)’처럼 왕의 묘호(廟號)를 붙인 서명으로 간행되었으므로, 일반적으로 ‘조선왕조실록’ 이라고 통칭한다. 완질은 1,717권에 이르는 방대한 기록이다. 1606년(선조 39년) 3부의 활자본 실록과 전주사고의 원본 및 교정본을 합한 5부의 실록이 성립되었다. 선조 완성된 실록은 재난에 대비하고자 이때 새로 금속활자로 간행한 3부는 각각 춘추관사고(春秋館史庫; 서울),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 봉화),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 무주)에, 임진왜란의 화를 면한 전주사고본 원본은 정족산사고(鼎足山史庫; 강화)에 교정본은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 평창)에 보관하여, 전국 5대 사고(史庫)에 분산하여 보존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시대의 정치ㆍ문화․사회ㆍ외교ㆍ경제ㆍ군사ㆍ법률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이 망라되어 있으며, 국왕도 마음대로 열람하지 못했을 정도로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은 사료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73년 12월31일 국보 제151호로 정족산사고본 1,181책(제151-1호), 태백산사고본 848책(제151-2호), 오대산사고본 27책(제151-3호), 기타 산엽본 21책(제151-4호), 도합 2,077책을 국보로 지정하였다. 이후 국제적으로도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도 등재되었다. 2006년에는 일본 동경대학교가 서울대학교에 오대산사고본 실록 47책을 기증함으로써 국보 제151-3호에 편입된 변화가 있었다.

기 지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던 적상산사고본은 6.25전쟁 당시 북한으로 유출되어 보존되고 있다고 전할 뿐 현품은 물론 실상 또한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번에 확인된 적상산사고본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1책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의 3책 등 모두 4책이다. 이 중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05년에 공개 구입한 1책(『광해군일기』 권55~58)은 「이왕가도서지장(李王家圖書之章)」, 「무주적상상간사고 소장 조선총독부기증본(茂朱赤裳山史庫所藏 朝鮮總督府寄贈本)」등의 소장인이 찍혀 있어 전라북도 무주의 적상산사고에 보관되었던 실록임을 알 수 있다. 적상산사고본 실록의 발견으로 국내에는 4대 서고인 정족산․오대산․적상산․태백산사고본이 완질 또는 일부 소장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