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해방자호
1946년 교통부에서 광복을 기념하기 위해 운행되었던 열차의 명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해방자호(解放者號)는 1940년대 중반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 특급열차로 운행한 열차의 이름이다. 서울-부산 간의 조선해방자호(朝鮮解放者號)와 서울-목포 간의 서부해방자호(西部解放者號)로 나뉘었다.
역사
편성과 운행
조선해방자호는 초기에 전망객차 1량, 우등객차 2량, 1등객차 5량, 식당차 1량이 연결된 9량 편성으로 운행하였으며, 정원은 전망객차에 8명, 우등객차에 144명, 1등객차에 360명이 탑승할 수 있어 총 512명이었다.[6] 그러나 보통열차와는 다르게 상당히 호화로운 편성이어서 논란이 일었고[6], 이용객이 적어 3개월만에 운휴하였다.[2] 이듬해 5월에 1등객차에 15명, 2등객차에 110명, 3등객차에 360명이 탑승하는 것으로 편성을 바꾸어 운행을 재개하였다.[3]
조선해방자호의 정차역은 서울역, 천안역, 대구역, 김천역, 삼랑진역, 부산역으로, 이 거리를 가는 데에 9시간 40분이 소요되었다.[7] 서부해방자호의 경우 초기의 정차역은 불명이나, 1948년 8월 25일부터 시흥역, 평택역, 신태인역, 장성역, 영산포역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8]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