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조화 평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Remove ads

수학에서 조화 평균(調和平均)은 주어진 수들의 역수산술 평균역수를 말한다. 평균적인 변화율을 구할 때에 주로 사용된다. 실수 a1, ..., an이 주어졌을 때, 조화 평균 H

로 주어진다.

Remove ads

경우에 따라서 조화 평균이 정확한 평균치를 돌려준다. 예를 들어, 전체 거리의 절반을 40km/h의 속도로 달리고, 남은 절반을 60km/h로 달렸다면, 평균 속력은 40과 60의 조화 평균인 48km/h가 된다. 이동하는데 전체 거리를 48 km/h의 속력으로 달린 경우와 같은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 (만약 전체 "시간"의 절반씩을 달렸다면, 평균 속력은 산술 평균인 50km/h가 된다.)

두 수의 조화 평균

요약
관점

두 수가 주어졌을 때, 두 수의 조화 평균은 다음 식으로 간단히 정리된다.

이때, 산술 평균

기하 평균

에 대해 조화 평균은

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Remove ads

산술기하부등식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