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존 넬슨 다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존 넬슨 다비
Remove ads

존 넬슨 다비(John Nelson Darby, 18001118일~1882429일)는 아일랜드계 영국의 성경학자이며 최초의 플리머스 형제단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중에 한 사람이다.[1] 그는 현대 세대주의의 아버지로 인정받으며 환란전 휴거 신학이 그에게서 시작되었다.[2] 스코필드 관주성경도 영향을 받았다.[3]

간략 정보 존 넬슨 다비John Nelson Darby, 기본 정보 ...

비판

요약
관점

세대주의 신학에 대한 주요 비판은 다음과 같다.

존 넬슨 다비는 19세기 플리머스 형제단(Plymouth Brethren) 운동의 주요 인물로, 세대주의 신학 체계를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신학에 대한 비판은 주로 성경 해석 방법론과 종말론, 교회론 등에서 나온다.

1. 성경 해석의 문자적 강조

세대주의는 성경을 최대한 문자적으로 해석하려고 하는데, 비판자들은 이 방법이 성경 전체의 통일성과 영적 의미를 간과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예언적 본문을 문자 그대로만 해석하려 함으로써 구속사의 연속성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2. 이스라엘과 교회의 분리

다비의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교회를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서 근본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에게 다른 언약과 약속이 적용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언약신학(Covenant Theology)과의 대립된다. 개혁주의 신학의 언약신학은 그리스도 안에서 이스라엘과 교회가 하나이며, 구약의 언약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되었다고 보는데, 세대주의는 이를 거부한다. 대체 신학 비판하는 세대주의는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체했다는 '대체 신학(Supersessionism)'은 반성경적이라고 비판하지만, 비판자들은 신약 성경이 그리스도 안에서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속사적 통일성을 가르친다고 주장한다.

3. 종말론적 특징에 대한 비판

환난 전 휴거설(Pre-tribulation Rapture)을 주장한다. 그러나 교회가 7년 대환난 전에 비밀리에 휴거된다는 주장은 성경적 근거가 약하며,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교리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중 재림을 주장하지만 그리스도의 재림을 휴거와 지상 재림의 두 단계로 나눈다는 비판을 받는다. 현실 삶의 등한시한다. 세대주의 종말론이 임박한 종말과 휴거에만 지나치게 집착하도록 만들어서, 기독교인들이 이 세상에서의 책임(사회 참여, 문화 변혁 등)을 등한시하고 현실 도피적인 신앙생활을 하게 만든다는 비판을 받는다.

4. 교회론(Ecclesiology)

교회의 폐허 개념 (Ruin of the Church)을 주장하는 다비는 교회가 이미 '폐허' 상태에 빠져서 더 이상 참된 교회의 모습이 아니라고 보았다. 이로 인해 그는 기존 교단과 제도적 교회를 비판하고 '주님의 이름으로 모이는' 개별적인 모임(형제단 모임)을 강조했다. 성직자 제도 거부하는데 성령께서 교회의 모든 지체를 통해 말씀하실 수 있다는 믿음 하에, 성직자 제도를 성령을 제한하는 것으로 보아 거부했다. 지나친 주관적 성령의 역사를 무분별하게 주장한다.

5. 도덕률 폐기론(Antinomianism)

일부 세대주의자들은 구약의 율법, 특히 십계명의 규범적 기능을 부인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신자의 성화 과정에 필요한 율법의 세 번째 용도(Third Use of the Law)를 부정하는 도덕률 폐기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