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존 클라크 (물리학자)
영국 물리학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존 클라크(영어: John Clarke, 1942년 2월 10일~)는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명예 교수이다.[1]
1980년대에 존 M. 마티니스와 미셸 데보레를 포함한 연구팀을 이끌었다.[2] 초전도체에서 거시적 양자 현상에 대한 발견으로 202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
Remove ads
생애
1942년 2월 10일,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다.[3][4] 퍼스 스쿨을 다녔고,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크라이스츠 칼리지에서 자연과학 학위를 시작했다.[5] 1964년에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은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왕립학회 몬드 연구소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공부했다.[6]
1965년, 클라크는 새로 설립된 다윈 칼리지에 입학한 최초의 학생 중 한 명이었고 다윈 칼리지 학생회의 초대 회장이었다.[7] 브라이언 피파드의 지도하에 박사 연구를 하는 동안 클라크는 매우 민감한 전압계를 개발했는데 나중에 이를 "초전도 저인덕턴스 요동 검류계"를 의미하는 SLUG라고 불렀다.[5][6] 그는 1968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6]
박사 학위 과정을 마친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후 연구원 직위를 얻었고 이후 버클리에서 그의 전체 학술 경력을 보냈다. 조교수(1969), 부교수(1971), 물리학 교수(1973~2010)로 두루 재직했다.[8]
미국으로 이주한 후에도 케임브리지 대학교와의 관계를 계속 유지했다.[8] 1972년에 클라크는 크라이스츠 칼리지의 연구원으로 선출되었고, 1989년에는 클레어 홀, 케임브리지의 방문 연구원이었으며, 1998년에는 처칠 칼리지의 준연구원으로 선출되었다.[8] 클라크는 2003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8] 1997년에 크라이스츠 칼리지의 명예 연구원, 2023년에는 다윈 칼리지의 명예 연구원으로 선출되었다.[8]
Remove ads
연구
클라크의 연구는 초전도 현상 및 초전도 전자공학, 특히 자기 선속의 초고감도 검출기인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SQUID)의 개발 및 응용에 중점을 두었다.[9][10][11]
1985년에 그의 박사 과정 학생인 존 M. 마티니스와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미셸 데보레와 함께 조지프슨 접합의 양자 행동을 시연했다.[2][12] 이 연구는 나중에 초전도 양자 컴퓨팅의 기초가 되었다.[12]
또한 암흑물질의 가능한 구성 요소인 액시온을 찾기 위해 양자 잡음 제한 증폭기로 구성된 SQUID를 적용하는 연구도 수행했다.[9]
영예 및 수상
클라크는 알프레드 피처드 슬로언 펠로우십(1970)[13]과 구겐하임 펠로십(1977)을 받았다.[14] 클라크는 1986년에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9] 그는 1998년에 측정 과학 발전 조셉 F. 키슬리 상을 수상했으며[15], 1999년 컴스톡 물리학상[16], 2004년 휴스 메달[9] 및 올리 V. 로우나스마 기념상[17]을 수상했다. 그는 2012년 5월 미국 국립과학원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8] 2017년에는 미국철학학회에 선출되었다.[19]
2021년에는 미치우스 퀀텀 상이 클라크, 미셸 데보레, 나카무라 야스노부에게 공동으로 수여되었다.[20]
클라크, 데보레, 존 M. 마티니스는 전기 회로에서 거시적 양자 역학적 터널링 및 에너지 양자화를 발견한 공로로 2025년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21]
서적
- Srinath, S. (2006년 8월 1일). Clarke, John (편집). 《A Review of: “The SQUID Handbook: Fundamentals and Technology of SQUIDS and SQUID Systems”: John Clarke and Alex I. Braginski (editors), Vol. 1.》.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21. 583–583쪽. doi:10.1080/10426910500503706. ISSN 1042-6914.
문헌
- Tesche, Claudia D.; Clarke, John (1977년 11월 1일). 《dc SQUID: Noise and optimization》 (영어). 《Journal of Low Temperature Physics》 29. 301–331쪽. doi:10.1007/BF00655097. ISSN 1573-7357.
- Clarke, John; Cleland, Andrew N.; Devoret, Michel H.; Esteve, Daniel; Martinis, John M. (1988년 2월 26일). 《Quantum Mechanics of a Macroscopic Variable: The Phase Difference of a Josephson Junction》. 《Science》 239. 992–997쪽. doi:10.1126/science.239.4843.992.
- Clarke, J. (August 1989).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SQUIDs》. 《Proceedings of the IEEE》 77. 1208–1223쪽. doi:10.1109/5.34120. ISSN 1558-2256.
- McDermott, Robert; Trabesinger, Andreas H.; Muck, Michael; Hahn, Erwin L.; Pines, Alexander; Clarke, John (2002년 3월 22일). 《Liquid-state NMR and scalar couplings in microtesla magnetic fields》. 《Science (New York, N.Y.)》 295. 2247–2249쪽. doi:10.1126/science.1069280. ISSN 1095-9203. PMID 11910105.
- Clarke, John; Hatridge, Michael; Mössle, Michael (2007). 《SQUID-detec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microtesla fields》. 《Annual Review of Biomedical Engineering》 9. 389–413쪽. doi:10.1146/annurev.bioeng.9.060906.152010. ISSN 1523-9829. PMID 17328671.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더 읽어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