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주한 중국 대사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 위치하고 있는 중국 대사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주한 중국 대사관map
Remove ads

주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중국어 간체자: 中华人民共和国驻大韩民国大使馆, 정체자: 中華人民共和國駐大韓民國大使館, 병음: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zhù Dàhánmínguó Dàshǐguǎn) 또는 주한 중국 대사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이다.

간략 정보 설립일, 관할 ...
Remove ads

공관 연혁

  • 1882년: 조선청나라 사이에 체결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에 따라 청나라 정부가 부지를 매입함.[2]
  • 1883년: 한성상무공서(漢城常務公署) 설립.
  • 1894년: 청일 전쟁 시기에 일본 제국 군대가 한성상무공서를 공격함에 따라 폐쇄됨.
  • 1896년: 주한성 청나라 총영사서(總領事署) 설립.
  • 1898년: 대한제국 주재 청나라 공사관 설립과 함께 흠차대신(欽差大臣) 파견.
  • 1906년: 1905년에 체결된 을사조약에 따라 대한제국 주재 청나라 공사관이 폐쇄되었으나 주한성 청나라 총영사서는 주한성 청나라 총영사부(總領事府)로 이름을 바꿔 유지함.
  • 1912년: 신해혁명과 함께 중화민국이 수립됨에 따라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주경성 중화민국 총영사관이 설립됨.
  • 1937년: 중일 전쟁 시기에 설립된 일본 제국의 괴뢰 정권인 중화민국 임시정부에 주경성 중화민국 총영사관의 소유권이 넘어감.
  • 1940년: 중일 전쟁 시기에 설립된 일본 제국의 괴뢰 정권인 왕징웨이 정권에 주경성 중화민국 총영사관의 소유권이 넘어감.
  • 1945년: 일본 제국이 중일 전쟁에서 패전함에 따라 주경성 중화민국 총영사관이 폐쇄됨.
  • 1946년 11월 4일: 주서울 중화민국 총영사관 설립.
  • 1948월 8월 14일: 류위완(劉馭萬) 중화민국 특사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대한민국 정부에 친서를 전달함.
  • 1949년 1월 4일: 대한민국과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과 함께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으로 승격됨.
  •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 수립.[3] 대한민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에 앞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청사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양도하기로 결정함.[4][5]
  • 1992년 8월 27일: 주한 중국 대사관 명동에 개설.[6]:247쪽
  • 1992년 9월 23일: 주한 중국 대사관 인수 및 내부 공사 절차 시작.[7][8]
  • 1993년 2월 5일: 주한 중국 대사관 공식 입주.[9]
  • 1993년 2월 8일: 주한 중국 대사관 정식 업무 시작.[9]
  • 2002년 5월: 청사는 종로구 효자동 효자빌딩으로, 영사부는 광화문 교보빌딩으로 이전했다.[1]
  • 2014년 1월 23일: 명동에서 재개관식 개최[10]
Remove ads

관할 구역

역대 공관장

자세한 정보 대수, 이름 ...

같이 보기

일반 주제

한국에 설치된 중국 공관

주변국에 설치된 중국 공관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