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주파수공용무선통신시스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주파수공용무선통신시스템은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여러 사용자가 공용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무선 통신 규격이다. 흔히 TRS(Trunked Radio System)으로 불린다.
주된 목적은 효율성이다. 즉, 단지 몇 개의 구별된 주파수들을 가지고서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대화들을 전달할 수 있다.[1]
개요

주파수공용무선통신시스템은 서비스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일정한 채널로 분할하여 여러명의 사용자가 채널별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시스템이다. 비유하자면 인터넷 채팅 사이트와 유사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주파수공용무선통신 서비스를 인터넷 채팅 사이트라고 한다면 서비스의 각 채널은 개설된 대화방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채널을 선택하는데 채팅 사이트의 대화방에 접속하는 것과 같다. 하나의 채널에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는 대화방의 허용인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사용
주파수 공용무선통신시스템은 비교적 작은 지역에서 같은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까닭에 오랫동안 경찰, 소방관, 응급실 등 정부의 긴급업무에 사용됐다. 상용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택시, 대리운전 등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서비스
대한민국에서는 KT파워텔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