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중용주자혹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중용주자혹문
Remove ads

중용주자혹문》(中庸朱子或問)은 송(宋)의 주희가 주석한 《중용혹문(中庸或問)》을 원(元)의 예사의(倪士毅)가 집석(輯釋)하고, 주평중(朱平仲)이 참교(參校)한 원판본을 도입하여 고려 진주목에서 간행한 것이다.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이 책은 원판을 번각한 것인데, 권말에‘洪虎四年辛亥七月日晉州牧開板(홍호사년신해7월일진주목개판)’의 간기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洪虎(홍호)’의‘虎(호)’는 고려 제2대 왕 혜종의 휘(諱)인‘武(무)’를 피휘하여 바꾸어 쓴 것이다. 이 간기에 의해 고려 공민왕 20년(1371년)에 진주목에서 개판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원본의 번각본이어서 판본에는 원판본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인쇄가 깨끗하고 정교하다. 이 책은 현재 두 책이 전래되고 있는데, 보물 707호[1]가 706호[1]에 비해 약간 늦게 인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move ads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