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중형철도수송시스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중형철도수송시스템(中型鐵道輸送시스템) 또는 Medium-capacity rail system[† 1]은 라이트 레일보다는 수송량이 많고 일반적인 중전철보다는 낮은 철도교통수단을 뜻한다. 라이트 메트로(Light Metro) 또는 라이트 래피드 트랜짓(Light Rapid Transit)으로 불리기도 한다.[1]


수송객량이 대중 교통 시스템의 규모를 결정하기 때문에 통계 모델링을 통해 도시계획자는 해당 지역의 수요에 맞게 철도 시스템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상 승객수가 라이트 레일보다는 많고 중전철 또는 지하철 시스템보다는 적은 규모에 있을 때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이 건설된다. 중전철 서비스가 불충분한 철도 네트워크(예: 단선)로 인해 충분한 승객수를 채우지 못하거나 인구 통계적 변화로 인해 필요한 승객 수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로 인해 결과적으로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이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거의 대부분의 라이트 레일 시스템과 달리,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항상은 아니지만) 완전히 도로교통과 분리되고 배타적인 통행 우선권 (right-of-way)을 가지고 운행된다. 경우에 따라 역간거리는 통상적인 철도망에서 일반적인 거리보다 훨씬 길어질 수 있다.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은 또한 공항철도나 중전철 네트워크 간선의 지선과 같은 대형 교통수송 시스템의 다른 수송모드로서의 지선 연결에 적합 할 수 있다.
Remove ads
정의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의 정의는 이 용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다양하다. 국제적 정의의 불일치는 심지어 개별 국가 단위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타이완교통부는 각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이 매시방향당 승객수(p/h/d 혹은 PPHPD) 6,000 ~ 20,000명의 승객 탑승이 가능하다고 하는 반면, [2] 타이베이시 정부 첩운공정국(臺北市政府捷運工程局)은 약 20,000-30,000 PPHPD의 수송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며, [3] 세계 은행의 보고서는 수송능력을 15,000-30,000 PPHPD로 정의하고있다. [4] 비교를 위해, 지하철 또는 중전철의 표준은 30,000 PPHPD 이상의 수송능력을 지닌 수송수단으로 규정되었지만,[5] 라이트 레일 시스템은 약 10,000-12,000 PPHPD[4] 또는 12,000-18,000 PPHPD[5]의 수송능력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은 같은 지역에 있는 다른 중전철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더 적은 승객 수용 능력을 갖는다. 그러나 수송능력은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을 정의하는 데 이용 가능한 하나의 기준에 지나지 않는다.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을 정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기준은 차량 유형이다. 예를 들어,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의 열차는 표준 지하철 시스템보다 짧은 편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보통 3량 (경우에 따라서는 2량)에서 6량까지의 차량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짧은 플랫폼의 건설과 사용이 가능하다. 통상적인 철제 차륜 열차를 사용하는 것보다, 타이베이 첩운에서 사용되는 VAL 시스템과 같은 고무 타이어 지하철 같은 기술이 경우에 따라서는 추천되기도 하는데, 이는 고무 타이어 지하철의 적은 주행소음과 가파른 경사 등판 능력과 급곡선 주행 능력이 좀 더 유연한 열차 배치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풀규격 중전철이나 지하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러시아워시 열차 운전시격 10분 내지는 더 짧은 운전시격을 갖는다.[6] 모든 면에서 중전철 또는 지하철로 보기에 충분하지만(예: 완전 입체화된 철도 시스템) 불충분한 철도 네트워크 (예 : 단선)로 더 긴 운전시격(예: 운전시격 15분)만이 가능한 철도 시스템은, 결과적으로 "라이트 메트로" 또는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의 정의에 더 부합할 수 있다.
Remove ads
중형철도수송시스템 용어의 변형
요약
관점

"라이트 메트로(Light Metro)"는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전세계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체 용어이다. 이 용어는 유럽 국가들, 인도[7][8]에서 사용되고 있다.[9]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라이트 메트로라는 용어는 라이트 레일과 의미가 섞여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이 경향이 더욱 강해지는데, 이는 '라이트 레일(Light rail)'이 한국 고유의 용어인 경전철의 번역어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경전철'을 영어로 직역하면 'Light metro' 가 되지만, 그러나 경전철의 실제 의미는 "중전철과 버스 사이의 수송능력을 가지는 궤도교통수단" [10] [11] [12] [13]으로 영어에서 사용되는 라이트 메트로(=중형철도수송시스템), 라이트 레일(=개량된 노면전차) 의미와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의정부 U 라인은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의 일종인 VAL 시스템이기 때문에 LRTA 등의 기관에서는 "라이트 메트로(Light Metro)"로 분류하고 있지만,[9] 운영사와 한국에서는 이를 '라이트 레일'의 의미를 지닌 "라이트 레일 트랜짓(Light rail Transit)"으로 칭한다.[14] 부산-김해 경전철은 라이트 메트로와 기능과 외형이 유사하지만, 운영사는 "라이트 레일"로 구분하고 있다.[15] 인도에서도 일부 기사에서 "라이트 메트로" 유형의 시스템을 "라이트 레일"이라고 부르는 것이 발견된다.[16]
앞에서 다뤘듯, VAL (Véhicule Automatique Léger) 시스템은 중형철도수송시스템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제조업체가 수송객량을 최대 30,000 PPHPD로 정의하기 때문이다.[17] 비영리 단체인 LRTA (Light Rail Transit Association)는 또한 여러 다른 대중 교통 시스템을 "라이트 메트로 (light metro)"로 분류하고 있다.[18][† 2]
홍콩 MTR의 마온산 선은 어떤 맥락에서는 중형철도수송시스템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짧은 4량의 SP1950 열차를 사용) 중전철에 버금가는 최대 32,000 PPHPD의 수송능력을 낼 수 있다.[19] 다만, 이 분류에 오래 속하지는 않을 전망인데, 이는 2019년까지 마온산 선과 서철선을 합병하여 동서회랑(East West Corridor)을 이루는 계획에 앞서 8량짜리 열차를 배치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다른 두 노선, 2005년에 개통된 홍콩 디즈니 랜드 리조트로 향하는 디즈니 선 셔틀 열차와 2016년 12월에 개통된 남공도 선 또한 중형 철도 시스템 기준에 부합하게 건설되었다.
Remove ads
장점과 단점
일반적인 중전철 대신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을 건설하는 주된 이유는 비용절감으로, 이 시스템은 짧은 차량과 짧은 역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은 중전철보다 더 빠르게 운행되는데, 이는 역에서의 정차시간이 짧고, 가벼운 열차 특유의 빠른 가속력과 제동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뉴욕 지하철 급행 열차는 밴쿠버 스카이 트레인만큼 빠르지만, 특급 열차는 운행 노선 거의 대부분의 역을 통과한다.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은 수송객수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수송능력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운영중에 승강장 확장이 매우 어려운데, 이는 공사가 반드시 노선 운영을 방해하지 않고 진행되야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하에 건설된 시스템이 그렇다. 홍콩과 우한 같은 일부 시스템은 승강장 연장을 위해 사전에 공간을 만들어 두어 장래에 더 긴 차량 또는 더 많은 열차를 수용할 수 있게 해두었다. 타이베이 첩운을 예로 들면,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은 모든 역에 2량 분의 추가 차량을 유치할 수 있는만큼의 추가 공간을 만들어 두었다.
중형 철도 교통 시스템 목록
요약
관점
다음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라이트 레일 트랜짓 협회 (Light Rail Transit Association, LRTA)에서 분류한 라이트 메트로에 해당하는 현재 운영중인 중형 철도 교통 시스템의 목록이다.[20]
과거에 존재했던 노선
다음은 과거에 존재했던 중형철도수송시스템의 목록이다. 아래의 노선들은 중전철화되었거나, 폐선된 것들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 약칭 MCS. 또는 Medium-capacity rail transport system
- 프랑스어 용어인 Métro léger는 영어 "Light Metro"가 문자 그대로 번역 된 것으로, 라이트 레일을 의미한다.
참고 문헌
서지정보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