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구력

생물이 오랜 기간 동안 스스로 활동하고 활동을 유지하는 능력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지구력(持久力)은 생물이 오랜 기간 동안 스스로 활동하고 활동을 유지하는 능력이다. 외상, 상처 또는 피로에 저항하고, 회복하고, 면역력을 갖는 능력이다.

이 용어는 유산소 운동이나 무산소 운동의 맥락에서 자주 사용된다. "장시간"의 정의는 운동 유형에 따라 다르다. 고강도 무산소 운동의 경우 몇 분, 저강도 유산소 운동의 경우 몇 시간 또는 며칠이 소요된다. 지구력 훈련은 개인이 이 효과에 대응하기 위해 저항 훈련을 수행하지 않는 한 지구을 감소시킬 수 있다.[1]

사람이 이전보다 더 많은 노력을 성취하거나 견딜 수 있게 되면 지구력이 향상된다.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복 횟수나 소요 시간을 천천히 늘릴 수 있다. 일부 운동에서는 반복 횟수를 늘리면 근력이 빠르게 향상되지만 지구력에는 영향을 덜 미친다.[2] 지구력이 증가하면 엔돌핀이 방출되어 긍정적인 마음을 갖게 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신체 활동을 통해 지구력을 얻는 행위는 불안, 우울증, 스트레스 또는 모든 만성질환을 감소시킨다.[3] 지구력이 향상되면 심혈관계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지구력이 심혈관 질환을 개선한다는 의미는 아니다.[4] 지구력 운동에 대한 근육의 적응으로 인한 주요 대사적 결과는 근육 글리코겐과 혈당의 활용이 느려지고, 지방 산화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며, 주어진 강도의 운동 중 젖산 생성이 줄어드는 것이다.[5]

스태미나(stamina, 체력)라는 용어는 때로는 지구력과 동의어로 사용되며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지구력은 어려운 상황을 견디는 능력, 즉 "고난을 견디는" 능력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군사 환경에서 지구력은 군사작전 기간 동안 상대에 비해 높은 수준의 전투 잠재력을 유지하는 부대의 능력이다.[6]

Remove ads

교육

교육 분야에서 지구력은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서 얼마만한 길이의 시간을 투입하기를 원하느냐는 것이다. 일반적인 경향에 비추어 볼 때 학생의 필요와 흥미·능력에 맞고, 얼마나 성공의 만족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느냐에 따라서 학생이 원하는 학습시간의 길이가 나타난다.[7]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