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방자치법 시행 60주년 기념주화

일본의 기념주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지방자치법 시행 60주년 기념주화
Remove ads

지방자치법 시행 60주년 기념주화(일본어: 地方自治法施行60周年記念貨幣)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지방자치법》 시행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발행된 일본기념주화이다.

Thumb
1,000엔 은화의 공통 뒷면 디자인
Thumb
500엔 프루프화의 공통 뒷면 디자인

개요

요약
관점

일본 조폐국은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지방자치법》 시행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일본을 구성하는 47개의 도도부현을 소재로 한 500엔 바이메탈화, 1,000엔 채색 은화를 순차적으로 발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1] 이들 기념주화는 1999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을 구성하는 50개의 주를 소재로 하여 발행한 미국의 50주 쿼터 주화와 비슷한 성격을 가진 주화이기도 하다. 2008년에 발행된 주화의 경우에는 홋카이도는 G8 정상회의 개최, 교토부는 《겐지 이야기》(源氏物語) 1,000주년, 시마네현은 이와미 은광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을 소재로 하고 있다.

500엔 바이메탈화는 1유로 주화와 같은 2색 3층 구조를 띠고 있다. 구리를 백동으로 만든 샌드위치 모양으로 끼워 넣은 원판에 끼워 넣은 다음에 니켈 황동으로 만든 고리 안에 끼워 넣은 주화인데 구리는 백동 원판에 끼워 넣었기 때문에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바이메탈화는 일본에서 처음 발행된 주화인데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기술을 토대로 한 독자적인 방법에 따라 제작되었다. 또한 500엔 바이메탈화는 일반 주화 이외에 프루프화도 발행되었다.

1,000엔 은화는 일본을 구성하는 47개의 도도부현을 소재로 한 디자인을 제작한 다음에 무광 프루프로 마무리하고 채색한 컬러 코인을 띠고 있다. 또한 액면가 이상의 가격에 배포되는 프리미엄형 화폐로서 일본 조폐국에 사전 신청을 한 희망자 중에서 추첨을 통해 구입자를 결정해서 대금과 상환하는 형식으로 발송하는 방법(판매 가격에는 발송 비용 및 소비세도 포함됨)을 취했는데 디자인 소재로 채택된 도도부현 주민에게는 다른 지역보다 2배 정도 높은 확률로 당첨될 수 있었다.

500엔 바이메탈화는 금융기관에서 액면가로 교환되었다. 이와는 별도로 500엔 바이메탈 프루프화는 1,000엔 은화와 마찬가지로 발매 가격이 액면을 웃돌고 있고 일본 조폐국의 사전 신청을 통해 추첨을 통해 구입자가 결정되었다. 일반 화폐도 일본 조폐국에서 발매되었지만 배송비나 케이스 비용 등에서 액면의 2배 정도의 가격에 발매되었다. 또한 액면가로 교환하는 500엔 바이메탈화와 마찬가지로 교환 매수가 다른 도도부현보다 많이 할당되어 있다.

일본우정도 이들 기념주화 시리즈와의 공동 기획으로 각 도도부현을 소재로 한 80엔 기념우표 5종류를 담은 소형 시트를 발행했다. 이들 소형 시트의 디자인 가운데 1종류는 기념주화와 소재가 같고 도안도 거의 같다. 다른 4종류는 해당 도도부현의 관광지 등이 디자인되어 있다. 이들 기념우표를 케이스에 넣은 기념주화와 함께 특제 케이스에 넣은 민트 세트가 일본 조폐국에서 판매되었고 케이스에 화폐가 담긴 단체 A세트, A세트+기념우표 특제 케이스 B세트, A세트+기념우표가 없는 특제 케이스 C세트 등 3종류가 500엔 바이메탈화와 1,000엔 은화가 각각 발매되었다.

Remove ads

위변조 방지 요소

  • 1,000엔 은화: 화폐 테두리에 빗금 톱니무늬가 새겨져 있는 화폐 모양의 압인과 동시에 화폐 테두리 주변에 빗금 톱니무늬를 새겨넣은 기술은 일본 조폐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로서 일본, 미국, 영국에서 특허를 획득했다. 화폐 뒷면에는 주화를 아래쪽으로 기울이면 큰 눈의 결정 부분에 지방자치법 시행 60주년을 의미하는 아라비아 숫자 "60"이 나타나고 주화를 위쪽으로 기울이면 일본을 구성하는 47개의 도도부현을 의미하는 아라비아 숫자 "47"이 나타나는 잠상이 있다. 그 외에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미세한 점 무늬가 새겨져 있다.
  • 500엔 바이컬러화: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판을 샌드위치 모양으로 끼워 넣는 클래드 기술로 만든 원판을 다른 금속으로 만든 고리 안에 끼워 넣는 바이컬러 기술을 접목했다. 화폐 뒷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1,000엔 은화와 같은 잠상이 있고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미세한 점 무늬와 미세한 줄 무늬가 새겨져 있다. 화폐의 테두리에는 대각선 톱니무늬의 일부를 서로 다른 톱니무늬와 함께 새긴 이형 대각선 톱니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이 기술 또한 일본 조폐국이 자체 개발한 기술이다.
Remove ads

목록

요약
관점

발행 시기

지방자치법 시행 60주년 기념주화의 발행 시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유형

출처: 일본 조폐국[2][3][4][5][6][7][8][9][10]

자세한 정보 종류, 소재 ...

기념주화 목록

공통 뒷면 디자인

출처: 일본 조폐국[2][3][4][5][6][7][8][9][10]

자세한 정보 종류, 디자인 ...

도도부현별 앞면 디자인

출처: 일본 조폐국[11]

자세한 정보 도도부현, 액면 ...

판매 가격 (세금 포함)

2014년에 일본에서 소비세가 8%로 인상됨에 따라 기념주화의 판매 가격 또한 지난 해에 비해 인상되었다.[60]

자세한 정보 액면, 세트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