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시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지시사(指示詞, 영어: demonstrative) 또는 지시어(指示語)는 화자의 지점과 상황을 바탕으로 사물을 가리키는 기능을 갖는 말이며, 특히 대명사나 한정사로 쓰인다.[1] 한국어의 「이」「저」와 영어this, that 따위는 전형적인 지시사이다.

지시사의 쓰임새

지시사는 원근에 따라 쓰임이 나뉜다.

  • 화자로부터 가까운가 먼가.
  • 화자로부터 가까운가, 먼가, 그 사이인가.
  • 화자로부터 가까운가, 청자로부터 가까운가, 화자에게도 청자에게도 가깝지 않은가.
  • 화자에게 가까운가, 청자에게 가까운가, 제3자에게 가까운가, 누구에게도 가깝지 않은가.

또한, 거리 이외의 다음과 같은 직시적 정보에 따라 쓰임이 나뉘는 언어도 있다.

  • 시야에 들어 있는가 아닌가.
  • 위에 있는가 아래에 있는가.
  • 상류인가 하류인가, 산정인가 기슭인가 따위의 지리적 정보.
  • 다가오고 있는가 멀어지고 있는가, 가로지는가 따위의 움직임의 정보.

더욱이, 직시적 정보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지시물의 성질에 따라 쓰임이 나뉜다.

  • 장소를 가리키는가 사물을 가리키는가.
  • 유정물인가 무정물인가.
  • 인간인가 아닌가.
  • 성별이 어떤가.
  • 가 어떤가.
  • 명확한 윤곽을 가진 것인가 아닌가.
Remove ads

한국어의 지시사

한국어의 지시사는 일반적으로 이-그-저의 3계열이다. 「이-」는 화자 근칭, 「그-」는 청자 근칭, 「저-」는 원칭이라고 불린다. 이런 3계열 구분을 따르는 언어로는 한국어 말고도 일본어, 핀란드어, 라틴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세르보크로아트어, 아르메니아어, 바스크어, 벵골어 등이 있다.

자세한 정보 사물, 처소 ...

각주

참고 문헌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