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지 (지리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지지(地誌, regional geography)는 지리학의 주요 전통 중 하나이다. 이는 특정 토지나 경관에서 다양한 문화적, 자연적 지리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그 대칭점인 계통지리는 세계적 수준에서 특정 지리적 요인에 집중한다.

기초

자연적 요소, 인문적 요소, 그리고 공간을 지역으로 구분하는 기술을 다루는 지역화와 같이 특정 지역의 독특한 특성에 주의를 기울인다. 독일어권 국가들의 전통에 뿌리를 둔 지지의 두 기둥은 란트 또는 공간적 개체(특정 장소, 국가, 대륙)에 대한 개별 기술적 연구와 란트샤프트 또는 공간적 유형(해안 지역, 산악 지역, 국경 지역 등과 같은 경관)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이다.

접근법

Thumb
세계 지지의 도표

지지는 또한 계량 지리학이나 비판 지리학과 비교할 수 있는 지리 연구의 특정 접근법이다. 이 접근법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전반에 걸쳐 지리학에서 지지 패러다임이 중심적이었던 시기에 지배적이었다. 나중에 그 기술성과 이론 부족으로 비판을 받았다. 특히 1950년대와 계량 혁명 기간 동안 강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주요 비판가들은 G. H. T. 킴블[1]프레드 K. 셰퍼였다.[2]

지지 패러다임은 경제지리학지형학을 포함한 많은 다른 지리 과학에 영향을 미쳤다. 지지는 여전히 일부 대학에서 세계 주요 지역에 대한 연구로 가르쳐지고 있다. 서반구에서는 북미와 라틴 아메리카와 같은 문화 지역이거나, 또는 해당 지리적 지역이나 대륙, 즉 북미와 남미일 수 있으며, 이들의 "경계"는 문화 지역과 크게 다르다. 동반구에서는 유럽과 아시아가 그들 사이를 구별하고 공유 경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에 따라 문화 지역 또는 대륙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이러한 대륙과 지역의 정의 및 경계 설정 뒤에 통합 이론이 부족하다는 앞서 언급한 사실에서 비롯된다.

또한, 도시-농촌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지리 연구에 대한 도시-지역 접근 방식의 개념은 1980년대 중반 이후로 신뢰를 얻었다. 일부 지리학자들은 1980년대 이후로 특정 지역주의를 다시 도입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이는 지역과 다른 규모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복잡한 정의를 포함한다.[3]

지지는 한때 데이비드 린턴앙리 볼리그와 같은 지형학 연구의 기초로 사용되었다.[4] 그러나 카르나 리드마르-베리스트룀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지지는 더 이상 주류 학계에서 지형학 연구의 기초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4]

Remove ads

저명한 인물

지지 분야의 저명한 인물로는 독일의 알프레드 헤트너와 그의 코롤로지 개념; 프랑스의 폴 비달 드 라 블라슈와 그의 가능주의 접근법(가능주의는 환경 결정론보다 더 부드러운 개념임); 그리고 미국의 리처드 하트숀과 그의 면적 분화 개념이 있다. 알프레드 헤트너와 폴 비달 드 라 블라슈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칼 O. 사우어 학파도 넓은 의미에서 지지로 간주된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