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오메트리 대시
롭탑의 유료 플랫폼 게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지오메트리 대시》(영어: Geometry Dash)는 1인 개발사인 RobTopGames가 개발한 리듬 기반 플랫폼 게임이다. 2013년 8월 13일 IOS 및 안드로이드에 출시되었으며, 스팀 버전은 2014년 12월 22일 출시되었다.[2][3]
지오메트리 대시에는 기본적으로 총 22개의 공식 레벨과 유저들끼리 맵을 만들고 공유하는 온라인 레벨이 주 컨텐츠이다. 공식 레벨 혹은 레이팅된 온라인 레벨을 클리어할 시 별, 코인, 오브, 다이아몬드와 같은 게임 내 화폐를 얻을 수 있다. 이 중 코인의 경우 Clubstep, Theory of Everything 2, Deadlocked과 같은 공식 데몬 레벨들을 해금할 수 있으며, 오브, 다이아몬드로는 새 아이콘을 구매할 수도 있다.
지오메트리 대시 외에도 Geometry Dash Lite, Geometry Dash Meltdown, Geometry Dash Subzero 등의 스핀오프 게임들이 제작되었다.[내용 1][4]
Remove ads
게임플레이
지오메트리 대시(이하 지메)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또는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가시, 벽 또는 톱니바퀴과 같은 장애물에 충돌하면 터지는 효과와 함께 레벨이 처음부터 다시 시작된다. '연습 모드'라고 불리는 게임모드가 있는데, 이 모드를 사용하면 체크포인트를 사용 가능한 대신 레벨의 진행상황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코인을 얻지 못한다. 게임 내 배경 음악의 리듬은 몇몇 레벨에서 게임플레이와 연관되어 있기도 하다.[5] 다만 이는 소수이며 대부분의 맵들은 리듬과 관련없는 게임플레이가 주이기에 유저들 사이에서 지메는 리듬게임이 아니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플레이어 아이콘은 7가지 게임 모드 중 하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각 모드는 서로 다르게 작동한다. 플레이어의 움직임은 플레이어가 7가지 게임 모드 간 변경, 중력 반전, 아이콘 크기 변경, 이동 방향 전환, 속도 변경 또는 순간 이동을 하게 만드는 '포털'로 더욱 복잡해진다. 또한 발판와 공점을 사용하여 플레이어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중력을 변경할 수 있다.
지오메트리 대시의 정식 버전에는 22개의 공식 레벨이 있으며, 이 중에서 3개는 공식 레벨에 숨겨진 코인이 필요하다. 각 레벨은 클리어 시 별, 오브와 같은 다양한 보상을 제공한다.[5] 레벨의 난이도는 N/A, Auto, Easy, Normal, Hard, Harder, Insane, Demon의 8가지 난이도로 분류된다. 여기서 Demon 난이도는 Easy, Medium, Hard, Insane, Extreme의 난이도로 세분화된다.[6]
지오메트리 대시의 정식 버전에는 플레이어가 직접 만든 레벨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기능이 있다.[7] 제작자는 업로드하기 전에 일반 모드로 자신의 레벨을 클리어해야 한다. 이를 베리파이라고 부르며 검색창에 자신의 맵 번호를 써야만 찾을 수 있는 언리스트 기능을 사용할 경우 베리파이가 필요하지 않다.
Remove ads
개발
RobTopGames에 따르면 '이 게임은 단순히 충돌하고 점프할 수 있는 큐브를 가진 템플릿으로 시작했다'며 '자세한 계획은 없었다'고 말했다.[8] 그는 원래 컴퓨터용 게임으로 개발했지만 후에 계획을 변경하여 모바일 게임으로 출시되었다. RopTopGames는 더 임파서블 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게임을 제작하고 앱 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출시하는데 약 4개월이 걸렸다. 베타 버전에서는 게임 이름이 Geometry Jump였지만 후에 Geometry Dash로 변경되었다.
출시 당시 이 게임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캐나다에서 2014년 6월 가장 인기 있는 유료 아이폰 앱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9]
2021년 8월 14일 RopTopGames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2017년 이후 첫 번째 대규모 업데이트인 2.2 버전의 미리보기 동영상을 공개했다.[10] 2022년 9월 4일, RopTopGames는 첫 번째 미리보기 동영상이 공개된지 1년 후 2번째 미리보기 영상을 공개했다.[11] 다시 1년 후 RopTopGames는 2023년 5월 15일에 세 번째 미리보기 동영상을 공개했는데, 이 영상에는 '플랫포머 모드' 기능과 레벨을 위한 사운드 이펙트 라이브러리를 공개했다.[12] 2023년 8월 13일, 게임의 10주년을 기념하여 RopTopGames는 27분 분량의 기념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말미에는 2.2 버전의 출시일이 2023년 10월로 공개돼 6년 만에 출시되는 업데이트가 됐다.[13]
Remove ads
외부 링크
난이도
요약
관점
Easy
파일:EasyGMD
- 파란색이고 웃고 있는 표정이다. 초보자도 쉽게 클리어할 수 있을 정도의 난이도이다. Stereo Madness, Back on Track, The Seven Seas 등이 Easy 난이도이다.
Normal
파일:NormalGMD
- 초록색이고 미소를 띠고 있다. Easy보다는 어렵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쉽다고 느낀다. Polargeist, Dry Out, Press Start 등이 Normal 난이도이다.
Hard
파일:HardGMD
- 노란색의 불안한 표정. Normal보다는 어려운 편이다. 이 게임을 시작한지 얼마 안됐다면 연습이 좀 필요할 수 있다. Base After Base[내용 2], Cant Let Go, Nock Em 등이 Hard 스테이지다.
Harder
파일:HarderGMD
- 빨간색의 화를 내는 표정. Hard보다 어렵다. Jumper[내용 3], Time Machine, Cycles, Blast Processing, Geometrical Dominator, Power Trip 등이 Harder 스테이지다. 보통 유저들이 가장 많이 막히는 난이도 중 하나가 Harder이다. Hard까지는 쉽게 깨도 Harder부터 슬슬 어려워지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특히, Geometrical Dominator는 후반에 깜깜한 암기 구간이 있어 체감 난이도가 Insane에 가깝다. 외우면 Normal만큼 쉽게 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암기 구간에서 막힌다.
Insane
파일:InsaneGMD
- 보라색의 소리를 지르는 표정. Harder보다 어렵다. xStep, Clutterfunk, Theory of Everything, Electroman Adventures, Electrodynamix, Fingerdash, Dash 등이 Insane 맵이다. 유저들이 Harder까지는 쉽게 깨더라도 Insane에서 많이 막힌다. 연습을 많이 해두자.(Theory of Everything과 Electroman Adventures는 Insane치고 쉬워서 Harder에 가깝다.)
Demon
파일:HardDemonGMD
Easy Demon, Medium Demon, Hard Demon[내용 4], Insane Demon, Extreme Demon의 5가지가 있다. 공식맵 중 가장 어려운 난이도. 공식맵에서는 모두 시크릿 코인을 10개 이상 모아야 플레이 할 수 있다. Clubstep, Theory of everything 2, Deadlocked 등이 Demon 맵.
Remove ads
유튜버
mulpan, 조잉크, 랑께, partition zion, space uk, Trick, Wpopoff 등이 있다.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