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우개

주로 연필과 같이 흑연 등으로 생긴 자국을 지우는 고무나 플라스틱이 주성분인 도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지우개
Remove ads

지우개연필과 같이 흑연(연필 심 재료) 등으로 생긴 자국을 주로 지우는, 고무플라스틱이 주성분인 도구이다.

Thumb
일반적인 지우개의 모습.
Thumb
지우개는 다양한 색상, 크기, 가격, 모양이 있다. 재료 특성 상 사용 시 소모가 된다.
Thumb
지우개를 사용하는 모습.

지우개는 고무의 소자성이 뛰어난 점을 이용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주로 연필이나 샤프 등을 이용해 그린 그림이나 을 지울 때 사용한다. 그리고 지우개는 시중에서 쉽게 살 수 있으며, 모래 지우개는 잉크를 지우는데도 종종 쓰인다. 연필 중에서는 뒤에 지우개가 함께 있는 경우가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연필의 좁은 특성상 지우개는 소량이다. 또한 대부분의 샤프 펜슬은 캡을 열면 지우개가 나온다.

지우개의 종류 중 플라스틱 지우개는 플라스틱에 가소제를 넣어 만든 지우개이다.

지우개는 영어로 이레이저(서)(Eraser)이지만, 영국에서는 처음 사용된 물질에서 기인하여 고무를 의미하는 러버(Rubber)라고도 부른다.[1]

Remove ads

역사

고무 지우개가 있기 전에는 종이로부터 납이나 목탄 표시를 지우기 위해 밀랍 서자판이 사용되었다.

1770년 잉글랜드의 공학자 Edward Nairne은 발명 대회를 위해 최초로 널리 마케팅된 고무 지우개를 개발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당시까지 이 물질은 검 일래스틱(gum elastic)이라는 용어로 불렸다. Nairne은 천연 고무 지우개를 높은 가격에 판매했다.

원리

연필 심으로 쓰이는 흑연은 육각형의 판상구조로, 글씨를 쓸 때에는 이러한 육각형의 구조가 층층이 밀려나면서 종이에 묻어나는 것이다. 지우개는 종이에 밀려난 흑연을 감싸며 말아내는 방법으로 흑연을 종이에서 떼어내는 것이다.

제조 방법

  1. 생고무를 주원료로 해서 이것을 배합 ·혼합→성형→재단의 공정을 거쳐 만드는 방법
  2. 식물유(채종유)와 염화황을 주원료로 해서 배합→화학반응→재단의 공정을 거쳐서 만드는 방법등이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