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적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지적법은 일제강점기 존속했던 토지조사와 관련된 법이 해방 이후 효력을 잃자 1950년 12월 1일 대한민국 제헌 국회에서 제정되어 59년간 존속하다가 2009년 6월 9일 측량법, 수로업무법와 통합되며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2011년 이후 개정되어 법률명이 바뀐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계승되며 폐지된 법률이다.
목적
토지에 관련된 정보를 조사·측량하여 지적공부에 등록·관리하고, 등록된 정보의 제공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효율적인 토지관리와 소유권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이다. 이 법의 규정에 따라 대한지적공사가 운영되고 다양한 현대 토지측량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통상적으로는 국토의 효율적 관리, 토지소유권 보호를 본격적인 법 제정 목적으로 본다.[1]
연혁
- 1950년 12월 1일 : 지적법 제정, 지적공부 규정 및 미등록 토지의 규정 신설
- 1961년 12월 8일 : 지적법 제 1차 개정, 지적공부 비치기관 개정 및 토지세 명문화
- 1975년 12월 31일 : 지적법 제 2차 개정, 토지대장의 서식을 카드식으로 개정 및 지적법 주요 내용 개정
- 1986년 5월 8일 : 지적법 제 3차 개정, 면적 단위 변경 및 열람 불가 대장 규정
- 1990년 12월 31일 : 지적법 제 4차 개정, 지적공부 전산등록 관련 규정, 열람 및 등본 교부 기준 완화
- 1991년 11월 30일 : 지적법 제 5차 개정, 지목 명칭 변경 및 지적전산파일 관련 규정 변경
- 1991년 12월 14일 : 지적법 제 6차 개정, 지목 합병 규제 강화
- 1995년 1월 5일 : 지적법 제 7차 개정, 쉬운 용어로의 변경 및 현실에 맞는 벌칙 조정
- 1997년 12월 13일 : 지적법 제 8차 개정, 부처 명칭 및 광역시 도입에 따른 일부 단어 정비
- 1999년 1월 18일 : 지적법 제 9차 개정, 토지이동 신청기간 연장, 지적재작성 등 변경에 대한 승인권 시,도지사로 이양
- 2001년 1월 26일 : 지적법 제 10차 개정(대개정), 정보화시대에 맞게끔 새로이 규정 및 시한이 지나 현재와 맞지 않는 명칭 및 부서명 개정
- 2002년 2월 4일 : 지적법 제 11차 개정, 토지수용법 명칭 변경에 따른 반영
- 2003년 5월 29일 : 지적법 제 12차 개정, 주택건설촉진법을 주택법으로 개정
- 2003년 12월 31일 : 지적법 제 13차 개정, 지적측량업무 관련 개정
- 2005년 3월 31일 : 지적법 제 14차 개정, 파산자를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 개정
- 2006년 9월 22일 : 지적법 제 15차 개정, 파산한 자도 지적측량업을 할 수 있도록 개정
- 2006년 10월 4일 : 지적법 제 16차 개정, 기존 주소체계를 도로명 기준으로 변경 반영
- 2007년 5월 17일 : 지적법 제 17차 개정, 호적, 제적을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로 개정
- 2008년 2월 29일 : 지적법 제 18차 개정, 소관이 행정자치부에서 국토해양부로 변경
- 2009년 6월 9일 : 국토해양부 발족에 따른 지적법과 측량법, 수로업무법 통합에 의해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제정, 지적법 폐지
- 2009년 12월 10일 : 지적법 폐지 유예기간 만료에 따른 지적법 효력 상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