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질 시대

지구가 생긴 이후부터의 지구의 역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지질 시대
Remove ads

지질 시대(地質時代)는 지구가 생긴 이후부터의 역사를 의미한다

Thumb
이 표는 국제 층서 위원회의 시대 구분을 따른다. 각 시대에 사용된 색은 미국 지리 연구소의 표준색상을 따랐다.

현재 이론에 따르면 지구는 약 45억 7천만 년 전에 만들어졌다고 생각하고 있다.지구의 역사는 여러 가지 기준으로 묶일 수 있다. 각 시대는 지질학이나 고생물학에서의 주요 사건(생물의 대량 멸종 등)을 기준으로 나뉜다. 예컨대 백악기팔레오세공룡 멸종의 이전과 이후를 기준으로 나뉜다.

최초의 지질연대표는 1756년 요한 고틀로프 레만(영어판)에 의해 만들어져 시원암(화강암·편마암 등의 결정질 암석), 성층암(화석을 포함하는 고화된 퇴적암), 비고화암(토양·자갈·화산재 등)의 연대로 구성되었다.[1]

지질연대표

요약
관점

아래 표는 국제 층서 위원회의 시대 구분을 따른다. 그리고 각 시대에 사용된 색은 미국 지리 연구소의 표준색상을 따랐다.

자세한 정보 누대, 대 ...
80타생
  1. 고생물학자들은 주로 en:faunal stage를 지질학적 시기 대신에 쓰기도 한다. 각 시기의 구분은 꽤 복잡하다. faunal stage의 정확한 구분을 원한다면 Harland을 보라.
  2. 표에 제시된 시각은 원문 자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차이는 대부분 방사능 연대 측정 방법의 불확실성에 의한 경우가 많다.
  3. 예전에는 신생대 제4기의 이전 시대를 제3기로 구분하기도 했으나, 국제 층서 위원회에서는 최근 이 이름을 공식 명칭에서 삭제했다.
  4. 북아메리카에서는 석탄기미시시피세펜실베이니아세로 나뉜다.
  5. 원생누대시생누대, 명왕누대를 합쳐 선캄브리아 시대 또는 은생누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6. 지질 시대의 한국어 명칭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층명 연구위원회 자료 참고
  7. 널리 쓰이긴 하지만 명왕누대는 공식적인 누대가 아니며, 초시생대의 경계도 정해지지 않았다.

타임라인

Ediacaran PaleoproterozoicMesoproterozoic

HadeanArcheanProterozoicPhanerozoic
CambrianOrdovician

DevonianCarboniferousPermianTriassicJurassicCretaceous

PaleozoicMesozoicCenozoicPhanerozoic
PaleoceneEoceneOligoceneMiocene PleistocenePaleogeneNeogeneCenozoic
단위: 백만 년
Remove ads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