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형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지형도(地形圖)는 대표적인 일반도이다. 지형도에는 어느 지역의 지형뿐만 아니라 취락·도로·각종 기관·삼림·경지 등이 표시된다. 이 지도는 각종 주제도를 만드는 데 기초 자료로 쓰인다. 지형은 여러 가지로 나타낼 수가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등고선에 의한 것이다. 한국의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5만분의 1, 2만 5,000분의 1, 1만 5,000분의 1 등의 축척으로 만들어진다.

지형의 표시
평면 상에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엔 자연적 도법과 부호적 도법이 있다.[1]
- 자연적 도법 : 음영법, 영선법
- 부호적 도법 : 단채법, 점고법, 등고선법
자연적 도법
음영법은 기복 상태를 색의 진하기로 나타내는 것이다. 현재 산악안내도, 관광안내도에 쓰인다. 영선법은 기복상태를 최대경사선 방향의 짧은 선을 여러 개 그려서 나타내는 도법이다.[2]
부호적 도법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