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진산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진산군
Remove ads

진산군(珍山郡)은 충청남도 금산군 서부의 옛 이었다. 현대의 금산군 진산면을 중심으로, 복수면, 추부면 영역에 해당한다.

역사

본래 백제의 진동현(珍同縣, 珍洞縣)으로, 신라 영토가 된 이후 황산군(연산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때 진례현(금산군)에 내속시켰으나 공양왕 2년(1390년)에 고산군 감무가 겸하게 하였고, 조선 태조 2년(1393년) 태조의 태실만인산에 묻히면서 진주(珍州)로 승격하여 지사관(知事官)을 두었다. 태종 13년(1413년) 진산군이 되었고, 세조 12년(1466년) 지군사를 군수로 바꾸었다. 정조 15년부터 20년까지(1791~1796) 천주교 신자로서 조상의 신주를 불태웠던 윤지충·권상연의 사형 집행(신해박해)으로 한시적으로 현으로 강등되었다.[1][2] 1895년 공주부 진산군, 1896년 전라북도 진산군이 되었으며 1914년 금산군에 통합되었다.

구역 대조

Thumb
1914년 구 진산 지역 면 폐합도
자세한 정보 구한말, 1914년 ...

각주

참고 문헌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