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
보임(불확실한 경우 첫 등장) |
겸직 ・ 위계 |
전거 ・ 비고 |
오노노 아즈마비토 |
- 덴표(天平) 원년 9월(729년 10월) 보인다. - |
안찰사 겸임、종4위하(従四位下) |
|
오토모노 고마로 |
덴표쇼호(天平勝宝) 9세(歳) 6월 16일(757년 7월 6일) 임명 |
좌대변(左大弁) 겸임、정4위하(正四位下) |
같은 해 7월 4일(7월 24일) 죄를 지어 죽었다. |
후지와라노 에미노 아사카리(藤原恵美朝猟) |
- 덴표호지(天平宝字) 4년 1월(760년 1월) 보인다. - |
무쓰 안찰사 겸임、정5위하(正五位下) |
|
다나카노 다다마로(田中多太麻呂) |
덴표호지 8년 9월 29일(764년 10월 28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종4위하 |
|
이시카와 나타리(石川名足) |
진고케이운(神護景雲) 2년 9월 4일(768년 10월 18일) 임명 |
야마토노카미(大和守) 겸임、정5위상(正五位上) |
|
사카노우에노 간다마로(坂上苅田麻呂) |
진고케이운 4년 9월 16일(770년 10월 9일) 임명 |
정4위하(正四位下) |
|
사에키 미노(佐伯美濃) |
호키(宝亀) 2년 윤3월 1일(771년 4월 20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종4위하 |
|
오토모노 스루가마로(大伴駿河麻呂) |
호키 4년 7월 21일(773년 8월 13일) 임명 |
무쓰 안찰사 ・ 무쓰노카미 겸임、정4위하(正四位下) |
호키 7년 7월 7일(776년 7월 26일) 졸하였다. |
기노 히로즈미(紀広純) |
- 호키 8년 음력12월(778년 1월) 보인다. - |
정5위하(正五位下) 훈5등 → 종4위하(従四位下) 훈4등 |
|
오토모노 야카모치 |
덴오(天応) 2년 6월 17일(782년 7월 31일) 임명 |
무쓰 안찰사 ・ 춘궁대부(春宮大夫) 겸임、종3위(従三位) |
|
구다라노고니키시 준테쓰(百済王俊哲) |
- 엔랴쿠(延暦) 6년 윤5월 5일(787년 6월 24일) 해임 |
정5위상(正五位上) |
휴가노곤노스케(日向権介)로 좌천되었다. |
다지히노 우미(多治比宇美) |
엔랴쿠 7년 음력 2월 28일(788년 4월 8일) 임명 |
무쓰 안찰사 ・ 무쓰노카미 겸임、정5위하(正五位下) |
|
구다라노고니키시 준테쓰 |
엔랴쿠 10년 9월 22일(791년 10월 23일) 임명 |
시모쓰케노카미(下野守) 겸임、정5위상(正五位上) |
|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 |
엔랴쿠 15년 10월 27일(796년 11월 30일) 임명 |
고노에노쇼조(近衛少将) 겸임、종4위하(従四位下) |
|
구다라노고니키시 교준(百済王教俊) |
- 다이도(大同) 3년 6월(808년 7월) 보인다. - |
무쓰노스케(陸奥介) 겸임、종5위하(従五位下) |
|
사에키노 미미마로 |
다이토 4년 음력 1월 16일(809년 2월 4일) 임명 |
종5위하(従五位下) |
|
모노노베노소우사노 다리쓰구(物部匝瑳足継) |
고닌(弘仁) 3년 음력 2월 10일(812년 3월 26일) 임명 |
외종5위상(外従五位上) |
|
사카노우에노 기요노(坂上浄野) |
고닌 10년 1월(819년 2월) 임명 |
종5위하 |
《문덕실록》(文徳実録)의 졸전(卒伝) |
모노노베노소우사노 구마이(物部匝瑳熊猪) |
조와(承和) 원년 5월 19일(834년 6월 29일) 임명 |
전 주전윤(主殿允)、외종5위하(外従五位下) |
|
소우사노 스에모리(匝瑳末守) |
- 조와 4년 4월(837년 5월) 보인다. - |
외종5위하? |
|
미하루노 하마누시(御春浜主) |
조와 7년 1월 30일(840년 3월 7일) 임명 |
종5위하 |
|
사카노우에노 마사무네(坂上当宗) |
조와 13년 음력 2월 11일(846년 3월 11일) 임명 |
무쓰노스케 겸임, 종5위하 |
|
도모노 미무네(伴三宗) |
가쇼(嘉祥) 4년 1월 11일(851년 [2월 15일]]) 임명 |
종5위하 |
닌주(仁寿) 4년 8월 16일(854년 9월 11일) 졸하였다. |
훈야노 미치요(文室道世) |
닌주 4년 8월 17일(854년 9월 12일) 임명 |
전 우근위장감(右近衛将監)、종5위하 |
|
오노노 하루에다(小野春枝) |
사이코(斉衡) 3년 음력 2월 8일(856년 3월 17일) 임명 |
종5위하 |
|
사카노우에노 마사미치(坂上当道) |
덴난(天安) 3년 음력 1월 16일(859년 2월 22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종5위하 |
이름은 다카미치(高道)라고도 |
오노노 하루에다 |
조간(貞観) 2년 음력2월 14일(860년 3월 10일) 임명 |
종5위하 |
|
훈야노 간라마로(文室甘楽麻呂) |
조간 7년 음력 1월 27일(865년 2월 26일) 임명 |
전 무쓰노스케(陸奥介)、종5위하 |
|
미하루 미네요시(御春岑能) |
조간 10년 음력 1월 16일(868년 2월 13일) 임명 |
종5위하 |
|
아베노 히코(安倍比高) |
조간 말년( - 876년) 임명 |
종5위하 |
오노노 하루카제의 전임자 |
오노노 하루카제(小野春風) |
간교(元慶) 2년 음력 6월 8일(878년 7월 11일) 임명 |
종5위하 |
일설에는 같은 해 음력 5월 4일(6월 8일) 임명되었다고 한다 |
아베노 미토라(安倍三寅) |
간교 8년 음력 3월 9일(884년 4월 8일) 임명 |
원래 사바노스케(左馬助)、종5위상(従五位上]) |
|
미하루 다네자네(御春種実) |
닌나(仁和) 2년 음력 1월 16일(886년 2월 23일) 임명 |
종5위하 |
|
후지와라노 도키나가(藤原時長)※ |
|
|
《손피빈먀쿠》(尊卑分脈) |
후지와라노 시게나가(藤原茂永) |
- 엔기(延喜)10년 음력 5월(910년 6월) 보인다. - |
|
《서궁기》(西宮記) 권제8 |
후지와라노 도시히토(藤原利仁) |
엔기 15년(915년)? 임명되었다 |
종4위하(従四位下)? |
《손피빈먀쿠》. 이름은 도시히라(利平)라고도 |
다이라노 구니카(平国香)※ |
|
|
《손피빈먀쿠》 |
다이라노 요시마사(平良将) |
엔초(延長) 연간(923년 - 930년)? 임명되었다 |
종5위하 |
《부상략기》(扶桑略記). 이름은 요시모치(良持)라고도 |
후지와라노 아리카타(藤原有象)※ |
|
|
《손피빈먀쿠》. 호(号) ・ 주 쇼군(中将軍) |
다이라노 요시부미(平良文)※ |
덴교(天慶) 2년(939년)? 임명되었다 |
종5위상? |
《지바 대계도》(千葉大系図) |
후지와라노 히데사토(藤原秀郷) |
덴교 3년 음력 4월 25일(940년 6월 3일)? 임명되었다 |
종4위하? |
《유우키 계도》(結城系図) |
도모노 아리토키(伴有時)? |
|
무쓰노카미 겸임 |
《관지집》(貫之集) |
다이라노 사다모리(平貞盛) |
- 덴교 10년 음력 2월(947년 3월) 보인다. - |
|
《일본기략》(日本紀略). 호 ・ 헤이 쇼군(平将軍) |
미나모토노 나카노부(源仲舒) |
덴토쿠(天徳) 3년 음력 9월(959년 10월) 경에 임명되었다. |
4위 |
《청신공집》(清慎公集) |
미나모토노 노부타카(源信孝) |
- 고호(康保) 2년 음력 4월(965년 5월) 보인다. - |
종5위하 |
《조야군재》(朝野群載) 권제22. 호 ・ 고마쓰 쇼군(小松将軍) |
후지와라노 후미노부(藤原文信)※ |
|
|
《손피빈먀쿠》 |
후지와라노 지쓰네(藤原千常) |
안나(安和) 3년 1월 15일(970년 2월 23일) ?임명 |
|
《유우키 계도》. 이름은 지쓰네(知常)라고도 |
후지와라노 스에후미(藤原季文) |
덴엔(天延) 2년 1월 29일(974년 2월 23일) 임명 |
전 우마노스케(右馬助) |
《공경보임》 간나(寛和) 3년조 |
후지와라노 지카타(藤原千方) |
덴겐(天元) 2년 1월 29일(979년 2월 28일) ?임명 |
|
《유우키 계도》. 이름은 지카타(知方)라고도 한다. |
후지와라노 후미나가(藤原文脩) |
에이엔(永延) 2년 10월 3일(988년 11월 14일) 임명 |
종5위하 |
《소우기》(小右記). 이름은 文條 ・ 文修라고도 한다. |
미나모토노 미쓰마사(源満政)※ |
|
|
《손피빈먀쿠》 |
후지와라노 가네미쓰(藤原兼光) |
조토쿠(長徳) 4년 1월 15일(998년 2월 14일)? 임명되었다 |
|
《오야마 계도》(小山系図) |
다이라노 고레시게(平維茂)※ |
|
|
《손피빈먀쿠》. 호 ・ 요고 쇼군(余五将軍) |
다이라노 고레요시(平維良) |
- 조와(長和) 3년 음력 2월(1014년 3월) 보인다. - |
|
《소우기》. 일설에는 고레시게와 동일인물이라고도 한다. |
다이라노 고레요시 |
조와 4년(1015년) 중임 |
|
《미도 간파쿠기》(御堂関白記) |
다이라노 나가모리(平永盛) |
간닌(寛仁) 2년 1월 23일(1018년 2월 11일)? 임명되었다 |
종5위하 |
《안자이 씨 계도》(安西氏系図). 호・ 헤구리 쇼군(平群将軍) |
후지와라노 요리유키(藤原頼行) |
지안(治安) 2년 1월 29일(1022년 3월 4일)? 임명되었다 |
|
《유우키 계도》 |
미나모토노 요리노부(源頼信) |
지안 3년 8월(1023년 8월)? 임명되었다 |
|
《계도찬요》(系図纂要) |
미나모토노 요리요시(源頼義) |
덴기(天喜) 원년 (1053년)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 |
《본조속문취》(本朝続文粋) 권제6 |
기요하라노 다케노리(清原武則) |
고헤이(康平) 6년 음력 2월 27일(1063년 3월 29일) 임명 |
종5위상(従五位上) |
《부상략기》。 호 ・ 세이 쇼군(清将軍) |
기요하라노 사네히라(清原貞衡) |
엔큐(延久) 연간(1069년 - 1073년)? 임명되었다 |
종5위하 |
《미도 셋쇼 별기 이문서》(御堂摂政別記裏文書). 이름은 사네히라(真衡)라고도 한다. |
미나모토노 요시이에 |
에이호(永保) 3년(1083년)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 |
《손피빈먀쿠》 |
후지와라노 사네무네(藤原実宗) |
고와(康和) 원년 음력 12월 14일(1100년 1월 26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 |
《본조세기》(本朝世紀) |
후지와라노 모토요리(藤原基頼) |
조지(長治) 원년 음력 5월 2일(1104년 5월 27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 |
《중우기》(中右記) |
다이라노 모치쓰나(橘以綱) |
에이큐(永久)원년 음력 7월 29일(1113년 9월 10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종4위상 |
《전력》(殿暦) |
후지와라노 모로쓰나(藤原師綱) |
호엔(保延) 연간(1135년 - 1140년)? 임명되었다 |
무쓰노카미 겸임 |
《손피빈먀쿠》 |
후지와라노 모토나리(藤原基成) |
고지(康治) 2년 음력 6월 29일(1143년 8월 11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종5위상(従五位上) |
《본조세기》 |
후지와라노 마사타카(藤原雅隆) |
保元2년 음력 9월 19일(1157년 10월 23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종5위상 |
《효한키》(兵範記) |
후지와라노 나가미쓰(藤原長光) |
- 조칸(長寛) 원년 음력 4월(1163년 5월) 보인다. - |
무쓰노카미・문장박사(文章博士) 겸임、종4위상 |
《장각감문》(長寛勘文). 이름은 나가미쓰(永光)라고도 |
후지와라노 히데히라(藤原秀衡) |
가오(嘉応) 2년 음력 5월 25일(1170년 7월 10일) 임명 |
|
《효한키》 |
후지와라노 노리스에(藤原範季) |
안겐(安元) 2년 음력 3월 30일(1176년 5월 10일) 임명 |
무쓰노카미 겸임、정5위하(正五位下) |
《교쿠요》(玉葉) |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 |
겐코(元弘) 3년 음력 6월 5일(1333년 7월 17일) 임명 |
전 사효에노카미(左兵衛督)、종4위하(従四位下) |
《공경보임》(公卿補任) |
기타바타케 아키이에(北畠顕家) |
겐무(建武) 2년 음력 11월 12일(1335년 12월 26일) 임명 |
우중장(右中将) ・ 무쓰노곤노카미(陸奥権守) 겸임、종2위(従二位) |
《공경보임》. 훗날 진주후다이쇼군(鎮守府大将軍) |
기타바타케 아키노부(北畠顕信) |
엔겐(延元) 3년 음력 윤7월(1338년 9월) 임명 |
좌중장(左中将) ・ 무쓰노스케(陸奥介) 겸임、종3위(従三位) |
《신황정통기》(神皇正統記) 남조(南朝)에 의해 보임되었다. |
아시카가 다다후유? |
간노(観応) 원년 음력 10월 25일(1350년 11월 25일) 임명 |
사효에노카미(左兵衛督) 겸임[주해 7] |
《참고태평기》(参考太平記). 양아버지이자 삼촌인 다다요시(直義)라고 기록된 것도 있으나 오기이다. |
닛타 요시시게(新田義重) |
게이초(慶長) 16년 음력 3월 22일(1611년 5월 4일) 추증 |
(종5위하) |
《효량숙녜기》(孝亮宿禰記). 스스로 닛타 씨의 후손을 자처했던 도쿠가와 가(徳川家)에 의한 조상 현창 사업에 따른 것이다. |
〔참고〕 재임 기간 불명 또는 재임 여부에 의문이 있는 인물 |
다이라노 요시카네(平良兼) |
|
|
《계도찬요》 |
다이라노 요시요리(平良繇) |
|
|
《손피빈먀쿠》。 이름은 良孫라고도 한다. |
후지와라노 아리요리(藤原有頼) |
|
|
《계도찬요》 |
미나모토노 쓰네모토 |
|
|
《손피빈먀쿠》 |
다이라노 시게모리(平繁盛) |
|
|
《히타치노다이죠 계도》(常陸大掾系図) |
미나모토노 에라부(源撰) |
|
|
《손피빈먀쿠》 |
미나모토노 후에루(源増) |
|
|
《손피빈먀쿠》 |
후지와라노 지하루(藤原千晴) |
|
|
《손피빈먀쿠》。 이름은 지토키(千時)라고도 한다. |
미나모토노 미쓰나카(源満仲) |
|
|
《손피빈먀쿠》 |
미나모토노 요리미쓰(源頼光) |
|
|
《계도찬요》 |
다이라노 다다미치(平忠通) |
|
|
《계도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