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진짜 사나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문화방송에 종영된 일밤 코너로 들어간 예능 프로그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진짜 사나이》는 2013년 4월 14일부터 2016년 11월 27일까지 방송된 예능 프로그램이다.
Remove ads
진짜 사나이 역사
방송 시리즈
에피소드 목록
논란과 비판
요약
관점
제작진의 편집 문제
- 2015년 3월 15일 방송에서는 출연자들이 옷을 갈아입는 장면과 샤워를 하는 장면이 방송에 그대로 노출되어 논란이 되었다.
- 2015년 11월 29일 방송에서는 일본 군가였던 군함행진곡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였으며, 이이경이 허리디스크로 인한 훈련 미이수에 관해서 경위서를 쓰는 장면에서 이이경의 주민등록번호가 그대로 방송에 노출되었다.
- 2015년 여군 특집 3기의 멤버들이 '(곽지수 하사의)엉덩이가 올라갔다'며 성희롱적 발언을 하는 장면이 그대로 방송에 나가다 못해 곽지수 하사의 엉덩이에 불이 붙는 것처럼 CG처리를 해 곽지수 하사의 가족들과 시청자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다.
- 여군 4기 멤버였던 이채영이 생활관에서 넘어져 크게 다칠 뻔한 상황에서 '초 단위로 불뿜던 슬랩스틱'이라는 자막으로 개그 취급하여 문제가 되었다.
실제 군대와의 괴리감
예능 프로그램임과 동시에 국방부에서 지원을 받고 군대를 홍보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실제 군대와의 괴리감은 가장 많은 비난을 받고 있는 부분 중 하나다. 출연자들이 군대 음식을 먹으며 호들갑을 떨거나 고성잡담을 하는 행위를 하고도 아무렇지 않게 대충 넘어가고 에피소드가 끝날 때마다 걸그룹이 군부대에서 행사를 하는 등 실제 군대와의 괴리감이 크다. 이 때문에 일부 시청자들(주로 군필자)은 군대 홍보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며 '진짜 사나이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출연자들의 문제 행동
다른 출연자들이나 군인들을 불쾌하게 하는 출연자들의 문제 행동도 실제 군대와의 괴리감과 함께 가장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아래의 문제 행동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 어깨 부상을 입은 김수로는 다른 출연자들이 유격훈련을 받는 것을 참다 못해 유격훈련에 무리하게 참여하다가 부상이 악화되었다.
- 차량선탑한 일병과 이병의 대부분이 태연하게 잠을 잤다.
- 케이윌은 의장대장과 교관이 합의하여 군기장으로 빼기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참여해 1주년 맞이 군악의장 페스티벌을 망쳤다.
- 헨리는 박광열 상병에게 '파인애플 닮았다'는 발언을 하고도 전혀 반성하는 기미가 보이지 않아 박광열 상병을 불쾌하게 했다.
- 여군 3기 멤버들은 '엉덩이가 화가 나 있었다(곽지수 하사)'는 성희롱적 발언으로 곽지수 하사의 부모형제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다.
여군특집
2014년 8월 24일부터 2014년 9월 21일까지 여군특집으로 방송하였는데 모든 출연자들이 카메라를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훈련에 임하며 호평을 받았다. 특히 걸스데이 혜리는 3초간의 애교 하나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으며, 인기드라마 여주인공 역할에 캐스팅되는 영광을 누린다. 이후 시즌2를 기획하지만 이 소식을 접한 시청자들은 2기부터 뜨려고 지원하는 사람이 태반인데다 미리 1기 방송을 정주행한 뒤 행동을 다 계산해서 올게 뻔해서 1기같은 리얼리티가 나오기는 힘들거라고 우려를 표했다.
시청자들의 우려는 사실이었다. 2기 여군들은 지난시즌 래퍼토리의 재탕, 툭하면 눈물을 흘리는 모습, 저질체력 등으로 인한 민폐로 혹평을 받았다. 이런 현상은 3기와 4기에서도 이어지면서 '뜨기위해 지원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또한 시즌을 거듭할수록 똑같은 래퍼토리와 캐릭터 구성 등으로 화제가 떨어졌다. 결국 하나의 보증수표였던 여군특집은 무명이나 인지도 낮은 연에인들의 무명탈출 혹은 인지도 높이기 수단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기타
Remove ads
내레이션 및 시청률
-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기
2013년
2014년
2015년
2기
2015년
2016년
Remove ads
수상 경력
- 2013 방송연예대상
- 최우수상 : 김수로
- 쇼/버라이어티 부문 인기상 : 장혁
- PD상, MC부문 인기상 : 서경석
- 올해의 작가상 : 신명진 작가
- 올해의 스타상 : 류수영, 손진영
- 신인상 : 박형식, 샘 해밍턴
- 2014 방송연예대상
- 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 서경석
- 버라이어티 부문 우수상 : 박건형, 라미란
- 버라이어티 부문 특별상 : 홍은희
- 가수 부문 특별상 : 케이윌
- 올해의 뉴스타상 : 임형준
- 최고의 시청률상 : 여군특집 1기 전원
- 우정상 : 김수로, 서경석, 샘 해밍턴
- 신인상 : 헨리, 혜리
- 2015 방송연예대상
- 버라이어티 부문 최우수상 : 김영철, 한채아
- 버라이어티 부문 우수상 : 정겨운, 김현숙
- 베스트 팀워크상 : 여군특집 3기 전원
- 인기상 : 강예원, 임원희
- 특별상 : 전미라
- 버라이어티 부문 신인상 : 슬리피, 엠버
- 2016 방송연예대상
- 버라이어티 부문 남자 우수상 : 허경환
- 올해의 작가상 : 이해영
- 버라이어티 남자 신인상 : 박찬호
- 버라이어티 여자 신인상 : 이시영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