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집게폄근

집게손가락을 펴는 아래팔뒤칸 깊은층의 근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집게폄근
Remove ads

집게폄근(extensor indicis [proprius]) 또는 검지손가락폄근, 시지신근(示指伸筋)은 아래팔뒤칸 깊은층에 위치한 좁고 긴 근육이다. 긴엄지폄근의 안쪽에 위치하면서 긴엄지폄근에 평행하게 주행한다. 집게손가락에 닿으면서 집게손가락을 펴는 작용을 한다.

간략 정보 집게폄근, 정보 ...
Remove ads

구조

집게폄근은 자뼈 몸통 뒷면의 먼쪽 13과 이웃한 아래팔의 뼈사이막에서 일어난다. 손가락폄근의 힘줄과 함께 넷째 힘줄칸을 통해 주행하여 집게손가락의 폄근널힘줄로 향한다.[1]

둘째손허리뼈 머리 반대편에서, 집게폄근의 힘줄은 집게손가락 쪽으로 온 손가락폄근 힘줄의 자쪽 측면에서 해당 힘줄과 합쳐진다.[2] 한편 집게폄근은 손등쪽에서 손가락폄근의 힘줄과 이어지는 건연결(juncturae tendinum)은 가지고 있지 않다.[3]

변이

집게폄근은 변이를 많이 보이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단일 힘줄만 가진다.[4] 집게폄근의 힘줄이 두 개 존재하는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2][5][6]

보통 집게손가락에 닿을 때 집게폄근은 손가락폄근의 자쪽 측면에 위치한다.[7] 그러나 손가락폄근의 노쪽 측면에 집게폄근이 닿는 경우도 드물게 관찰되며, 이를 'extensor indicis radialis'라고 칭하기도 한다.[2] 한편 손가락폄근의 자쪽과 노쪽에 모두 닿는, 힘줄이 나누어지는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2]

중간폄근(extensor medii proprius)이나 집게중간공통폄근(extensor indicis et medii communis) 같은 비정상적인 손의 폄근이 집게폄근의 변이로 종종 간주되기도 한다.[2] 이는 이들이 유사한 특징과 발생학적 기원을 공유하기 때문이다.[8]

Remove ads

기능

집게폄근은 집게손가락을 펴는 작용을 주로 하며, 손목손목뼈중간관절의 폄을 보조한다.[1]

집게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폄근이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손가락과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더 쉽다.[3]

추가 이미지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