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짧은종아리근

종아리 가쪽의 근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짧은종아리근
Remove ads

인체 해부학에서 짧은종아리근(fibularis brevis, peroneus brevis) 또는 단비골근(短腓骨筋)은 긴종아리근 아래에 놓여 있는 종아리뒤칸의 근육이다. 발바닥을 몸의 정중면에서 멀어지도록 기울이며(가쪽번짐, eversion) 발을 발바닥 쪽으로 기울이는(발바닥굽힘, plantarflexion) 작용을 한다.

간략 정보 짧은종아리근, 정보 ...
Remove ads

구조

Thumb
짧은종아리근이 맨 밑에 표시되어 있다.

짧은종아리근은 종아리뼈의 가쪽 면의 아래쪽 2/3(긴종아리근보다는 안쪽), 근육들 사이의 결합조직(사이막)에서 일어난다. 이후 종아리의 아래쪽까지 내려오면 발목의 가쪽복사 뒤쪽에서 고랑을 따라 주행하는 긴 힘줄로 끝난다. 긴종아리근의 힘줄도 이 고랑을 따라 주행하며, 위종아리근지지띠에 의해 고랑은 굴로 바뀐다. 두 힘줄은 같은 윤활집으로 싸여 있다.

힘줄은 이후 발꿈치뼈의 가쪽 측면을 따라, 발꿈치뼈결절과 긴종아리근 힘줄의 위쪽에 위치한 채로 앞쪽으로 주행한다. 마지막에는 다섯째 발허리뼈 바닥의 가쪽 측면에 있는 결절에 닿는다.

얕은종아리신경이 짧은종아리근에 분포한다.[1]

기능

가장 강한 의 모음근으로 작용한다.[2] 긴종아리근, 뒤정강근과 함께 짧은종아리근은 발목의 발바닥굽힘을 일으킨다. 이와 반대되는 작용(발등굽힘)을 하는 근육은 앞정강근셋째종아리근이다.[3] 또한 발바닥의 가쪽번짐을 일으킨다.[3]

또한 종아리근은 특히 한쪽 발로만 서 있을 때 다리를 발에 대해 안정하게 만드는 데에 도움을 준다.[3]

임상적 중요성

다섯째 발허리뼈 바닥이 골절된 경우 짧은종아리근이 위쪽 조각을 잡아당겨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존스 골절로 알려짐) 발의 안쪽번짐으로 인한 염좌(내번염좌)는 힘줄을 당겨 다섯째 발허리뼈 바닥의 결절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만들 수 있다.

명칭

Terminologia Anatomica에서는 'fibularis'를 'peroneus'보다 더 선호되는 용어로 지정하고 있다.[4]

추가 이미지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