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찐빈 (예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찐빈(베트남어: Trịnh Bính / 鄭柄 정병, 1670년 6월 20일(음력 5월 4일) ~ 1703년 2월 13일(음력 12월 28일))은 대월 후 레 왕조의 제6대 군주인 찐깐의 손자이자 찐빈의 아들이다. 뒤를 잇지 못하고 사망하였고, 이후 진광왕(Tấn Quang Vương/晉光王)으로 추봉되었으며 묘호를 예조(Duệ Tổ/睿祖)라 하였다.
Remove ads
생애
까인찌 8년 5월 4일[1][2](1670년 6월 20일), 찐빈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에 부도장(副都將) 겸 태위(太尉) 겸 진군공(Tấn Quận Công/晉郡公)으로 봉해졌다.
찐호아 9년(1688년) 2월, 절제각처수보제영(節制各處水步諸營) 겸 총정권(總政權) 겸 태위(太尉) 겸 진국공(Tấn Quốc Công/晉國公)으로 승진하였고, 익국부(翊國府)를 개부(開府)하였다.[2]
찐호아 23년 12월 28일(1703년 2월 13일)[2], 사망하니 향년 33세(만 32세)였다. 참재상상공(參宰上相公)으로 존봉(尊封)되었고, 시호를 명경(Minh Khánh/明慶)이라 하였다.[3]
찐빈과 그의 부친 찐빈은 모두 찐깐보다 먼저 사망하였다. 빈틴 5년(1709년), 찐깐이 76세로 죽자 찐빈의 아들인 23세의 찐끄엉이 뒤를 이었다.
빈틴 7년(1711년), 찐끄엉이 조부와 부친의 묘제(廟制)와 사례(祀禮)를 의논하여 정하게 하였다. 이에 부친 찐빈은 진광왕(Tấn Quang Vương/晉光王)으로 추존되었고, 찐 주의 태묘인 정궁묘(正宮廟)에 입사(入祀)되었다.[4] 이후 찐 주의 왕들이 대대로 미자(美字)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영명총예적철온문적선배기이모유후소유창윤독우연휴곽도굉모숭희무덕진광왕(英明聰睿迪哲溫文積善培基貽謀裕後紹猷昌胤篤祐延休廓度宏謨崇禧茂德晉光王)이 되었다.[2]
Remove ads
가족
조부모와 부모[2]
- 조부 : 소조(베트남어: Chiêu Tổ / 昭祖) 강왕(베트남어: Khang Vương / 康王) 찐깐(베트남어: Trịnh Căn / 鄭根 정근)
- 조모 : 묘미숙비(베트남어: Diệu Mỹ Thục phi / 妙美淑妃) 팜 티 응옥꾸옌(베트남어: Phạm Thị Ngọc Quyền / 范氏玉(日+卷) 범씨옥권)
- 부친 : 순조(베트남어: Thuần Tổ / 淳祖) 양목왕(베트남어: Lương Mục Vương / 良穆王) 찐빈(베트남어: Trịnh Vĩnh / 鄭栐 정영)
- 모친 : 자신혜비(베트남어: Từ Thận Hiền Phi / 慈愼惠妃) 응우옌 티 응옥주에(베트남어: Nguyễn Thị Ngọc Duệ / 阮氏玉裔 완씨옥예)
후비[2]
왕자[2]
왕녀[2]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