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참령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참령(參領)은 조선왕조대한제국군대 계급 중 하나이다. 정위[1]보다 높고 부령[2]보다는 낮은 계급으로, 현재의 소령 계급에 해당한다.

역사

참령 계급이 설치된 것은 조선왕조 군대가 근대 국가의 군대 체계를 도입한 1894년(고종 31년) 12월이며,[3] 기존의 여러 군영(부대)에 설치되었던 참령관(參領官) 명칭을 고려하여 정해졌다.[4] 즉,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대(大), 중(中), 소(少)가 아닌 정(正), 부(副), 참(參) 글자를 앞에 붙여 정령, 부령, 참령, 정위, 부위, 참위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계급 명칭을 정하였다.[5]

기타

참령 계급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광복군에도 그대로 채택되었고, 대한민국 해방 직후인 국방경비대에서도 사용되다가 1946년 12월 1일에 소령으로 개칭되었다. 또 대한제국 시기의 구세군을 계승한 현재 구세군 대한본영에서도 참령 계급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