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참모본부 (일본)
일본 제국 육군의 참모본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참모본부(
역사
이 기관은 병부성이 육군성과 해군성으로 분리되기 전인 1871 7월에 내국인 육군참모국으로 설치되어, 이듬해 1872년 2월에 육군성으로 분리되자 참모국으로 개명되었다. 다시 1873년 4월 1일에 부서인 제6국으로 개명되었지만, 1년도 안되어 1874년 2월 22일에 되돌려지고, 다시 1년 후의 1875년 6월 18일에 부서에서 외국인 참모국으로 분리되었다.
1878년 12월, 육군성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대본영 직할기관인 참모본부로 이름지어지고, 군정과 군령이 분리되어 군정은 육군성에서, 군령은 참모본부에서 맡게되었다.
1886년 3월, 참모본부 조례 개정에 의해 참모본부의 부서로서 육군부와 해군부가 설치되면서 육군 참모본부장은 두명의 육군과 해군측 참모차장을 밑에 두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군의 육군과 해군은 지위가 달랐고, 해군측에서 동등한 지위를 바랐고, 2년 뒤의 1888년 5월에 일본군 참모장인 참군을 황족이 맡고 그 밑에 육군참모본부장과 해군참모본부장을 두는 인사구조로 개편되었다.
1889년 5월, 참모본부의 편성이 끝났다. 참군은 참모총장으로, 해군참모본부는 해군참모부로 개명되었고, 모든 군령은 참모본부를 맡았다.
1893년 5월, 해군의 평시 권령이 해군군령부로 넘겨졌다.
1898년 10월 1일, 참모본부가 고이나이 신청사로 이사하였다.
1903년 12월, 해군의 군령권한이 군령부에 넘겨졌다. 이로서 해군은 육군과 대등해졌고 참모본부는 합동성을 잃었다.
1930년 7월, 급진성향의 장교들이 앵회를 결성하였다. 이 조직은 1931년 3월 사건과 10월 사건을 일으키려 했으나, 미수로 그쳤고 해산되었다.
1945년 11월 30일에 폐지되었다.
Remove ads
구조
내부부국
메이지 7년 ~ 11년
- 제1과 (총무과)
- 제2과 (아시아 병제과) 아시아, 만주 병제 과.
- 제3과 (유럽 아시아 병제과) 유럽, 아메리카 병제 과.
- 제4과 (병사과)
- 제5과 (지도정지과)
- 제6과 (측량과)
- 제7과 (문고과)
메이지 11년 ~ 19년
- 管東(관동)국
- 管西(관서)국
- 총무과
- 伴属諸과
- 지도과; 1884년 9월 9일, 참모본부 조례 개정에 따라 측량국으로 병합됨.
- 편찬과
- 번역과
- 측량과; 1884년 9월 9일, 참모본부 조례 개정에 따라 측량국으로 병합됨.
- 문고과
메이지 19년 ~ 21년
- 제1국
- 제2국
- 제3국
- 지부
- 측량국 (육지측량부의 전신)
- 편찬과
마지막
- 총장 - 중/대장
- 차장 - 중장, 1945년 5월까지 대본영 병참총감을 겸직함.
- 부장 - 소/중장
- 과장 - 중/대좌
- 반장 - 소/중좌
외국
Remove ads
계보
- 1871년 7월, 兵부省陸軍参謀局 →병무성 육군참모국
- 1872년 2월, 陸軍省参謀局 →육군성 참모국
- 1873년 4월 1일, 제六局 →제6국
- 1874년 2월 22일, 陸軍省参謀局 →육군성 참모부
- 1875년 6월, 18일, 参謀局 →참모국
- 외국 행정기관으로 분리됨.
- 1878년 12월, 参謀本部 →참모본부
- 육군성에서 분리되어 군령을 맡는 독립기관으로 지정됨.
- 1888년 5월 12일, 陸軍参謀本部 →육군참모본부
- 1889년 3월 7일, 参謀本部 →참모본부
- 1945년 11월 30일, 폐지
역대 수장
요약
관점
참모본부의 수장은 기관의 변화에 따라 달라졌는데, 마지막 직함인 참모총장은 육군대신, 교육총감과 함께 육군삼장관으로 일컫었고, 이들이 이끄는 기관은 성부(省部)라고 불렀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대본영, 육군부
- 육상막료감부
참고
각주
자료
- 箱岩英一 (2008년 7월). 《日本の参謀本部とその役割》 (PDF). 《財団法人日本地図センター》 (일본어). 54-56쪽. 2020년 9월 30일에 확인함.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