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창릉 (고려)

고려 세조의 능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창릉(昌陵)은 고려의 추존왕 세조(왕륭)과 부인 위숙왕후의 합장릉이다. 개성특별시 개풍구역 남포리에 있다.

개요

개성특별시 개풍구역 남포리 영안성에 있는 태조 왕건의 부모 세조 왕륭과 위숙왕후 한씨의 무덤이다.[1] 세조 왕륭은 897년(진성여왕 11년) 음력 5월에 금성군에서 죽었는데, 영안성 강변에 있는 석굴에 장사지냈다. 부인 한씨도 후에 합장하였으며, 훗날 창릉(昌陵)의 능호를 올렸다.[2]

1217년(고종 4년) 음력 3월 세조의 재궁을 임시로 봉은사로 옮겼다가[3] 1276년(충렬왕 2년) 음력 9월 다시 창릉으로 이장하였다.[4] 한편 1365년(공민왕 14년) 음력 3월에는 왜구들이 창릉에 들어가 세조의 어진을 탈취하였으며,[5] 열흘 후에 영도첨의 이공수를 시켜 위패를 새로 봉안하게 하였다.[6] 이어 1392년(공양왕 4년) 음력 3월에는 창릉을 수리하였다.[7] 창릉에는 능의 수비를 위해 산직장상 2명을 두었다.[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존급유적 제554호로 지정되어 있다.[1]

Remove ads

기타

  • 벽란도 남쪽에 창릉포라는 곳이 있으며, 이는 창릉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 대부분의 고려 왕릉이 산에 있는 것과는 달리, 창릉은 예성강의 강가에 있다. 이는 세조가 창릉포 바로 옆의 영안성을 본거지로 하여 활동했기 때문이다.[1]

출처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