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창원 성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창원 성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昌原 聖興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성흥사에 있는 불상이다. 2015년 6월 11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579호로 지정되었다.[1]
지정사유
창원 성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성흥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본존불상과 좌우협시보살상이다. 삼존불은 연화대좌 위에 앉아있는데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연화가지를 든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이다.[1]
창원 성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의 얼굴표현과 옷자락, 옷주름 등은 17세기 중엽에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조각승 희장이 제작한 불상과 매우 유사하다.[1]
현재 복장 발원문은 남아있지 않지만 양식적인 특징에서 분석할 수 있는 제작시기와 상통한 점에서 1658년경 희장계 작품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희장은 양산 통도사와 부산 범어사를 비롯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 많은 작품을 남긴 17세기 중엽경의 가장 대표적인 조각승이다.[1]
따라서, 제작연대의 파악이 가능하고, 조각기법이 우수한 작품이므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1]
Remove ads
각주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