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높이척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높이척도(scale height, 문화어: 척도높이)[1]는, 다양한 분야의 과학적 맥락에서, 어떤 양이 자연상수 e(=2.71828)에 대해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거리다.
예컨대, 행성의 대기에서, 수직 위로 상승함에 따라 대기압은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이때 높이척도 H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3]
이때
- k = 볼츠만 상수 = 1.38 x 10−23 J·K−1
- T = 평균 대기 온도(단위 켈빈) = 250 K[4]
- M = 건조 공기의 평균 분자량(단위 kg)
- g = 행성 표면에서 중력 가속도(단위 m/s²)
우리 태양계의 천체들의 높이척도는 다음과 같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