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척삭동물

발생 시에 척삭이 만들어지는 동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척삭동물
Remove ads

척삭동물(脊索動物, chordate) 또는 척색동물은 발생 시에 척삭이 만들어지는 동물후구동물 상문의 척삭동물문(학명: Chordata)에 속한다. 척삭은 대부분 연골이나 경골로 이루어진 척추로 바뀌지만 평생 척삭이 남는 동물도 있다.

간략 정보 척삭동물문, 생물 분류ℹ️ ...

분류학에서는 척추동물 아문에 속하는 모든 동물, 예를 들어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어류피낭동물 아문에 속하는 해초강, 탈리아강과 같은 동물들을 모두 척삭동물문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때는 장새류와 같은 반삭동물문도 척삭동물문에 속한 것으로 파악하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서로 다른 문으로 본다. 후구동물 상문에 속하는 또 다른 으로는 불가사리류 같은 것이 속해 있는 극피동물문이 있다.

캄브리아기의 대폭발 시기에 출현한 척삭동물문에는 최소한 6만여 이상의 동물이 속해있다.

Remove ads

친연 관계

피낭동물아문은 유충일 때 척색신경관을 가지고 있다가 성충이 되면 없어진다. 두삭동물아문은 일생 동안 척색과 신경관이 있지만 와 같은 특별한 신경절은 없으며 순환계통 역시 매우 단순하다. 두삭동물아문 가운데 유두동물만이 두개골을 갖고 있다. 먹장어를 제외한 모든 유두동물의 척수연골 조직이나 로 된 척추로 둘러싸여 있고 척색은 퇴화되어 있다.[주해 1]

척삭동물문과 함께 후구동물상문을 이루는 분류군으로는 반삭동물문극피동물문, 그리고 진와충동물문이 있다. 후구동물상문은 전체 동물계의 종 수 가운데 3분의 2를 차지한다.

척삭동물의 진화에는 몇 가지 가설이 있다. 현재 널리 인정되는 이론에 따르면 척삭동물은 모두가 하나의 공통 조상에서 진화한 단계통군으로서 어느 시점에 유두동물두삭동물로 나뉘었다고 본다. 척삭동물의 화석은 초기 캄브리아기 층에서부터 발견되며, 마오티엔산(毛天山) 혈암층에서 어류 두 종이 발견되었다. 캄브리아기 화석은 그 수가 적은 편으로 대부분은 분자 고생물학 수준에서 생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Remove ads

정의

간략 정보

분류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하는 좌우 대칭형 동물을[1] 척삭동물문에 속한 것으로 분류한다.[2]

  • 몸 안에 연골로 된 척삭이나, 뼈로 이루어진 척주가 등골을 이루어 존재하는 동물
  • 등골 안에 신경관이 있고 이를 통해 중추 신경계가 발달한 동물

하위 분류

요약
관점

먹장어강을 독립된 아문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최근 연구는 척추동물의 하위분류임을 지지한다.

계통 분류

다음은 동물의 계통 분류이다.[3][4][5][6][7]

동물

해면동물

진정후생동물

유즐동물

파라호소조아

판형동물

자포동물

좌우대칭동물

진무장동물

신장동물
후구동물

척삭동물

암불라크라리아

선구동물
탈피동물

유극동물

절지동물

선형동물

나선동물
유악동물

윤형동물

모악동물

편형동물

촉수담륜동물

연체동물

환형동물

다음은 척삭동물의 계통 분류이다.[8][9][10][11]

척삭동물
두삭동물

창고기

피낭동물

유형강

탈리아강

해초강

유두동물

먹장어강

척추동물

코노돈트강

두갑강

칠성장어강

익갑강

유악류

판피류

연골어류

진구류

극어류

경골어류

조기어류

육기어류

공극어류

폐어류

사지상강

양서류

양막류

포유강

파충강

조강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