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좌표계를 다른 좌표계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3] 변환 시 참고 사항
기호
- 지평좌표계
- 적도좌표계
- 황도좌표계
- 은하좌표계
- 기타
시간각 ↔ 적경

적도 ↔ 황도
구면삼각법에서 유도된 원초적인 공식은 중괄호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으며, 첫 식을 둘째 식으로 나누면 왼쪽의 단순한 탄젠트에 대한 식이 된다.[4] 회전 행렬 등가는 식 아래에 주어져 있다.[5] 이 식은 모호한 점이 있는데, 탄젠트의 주기는 180° (π)이지만 사인과 코사인의 주기는 360° (2π)이기 때문이다.
![{\displaystyle {\begin{aligned}\tan \left(\lambda \right)&={\sin \left(\alpha \right)\cos \left(\varepsilon \right)+\tan \left(\delta \right)\sin \left(\varepsilon \right) \over \cos \left(\alpha \right)};\qquad {\begin{cases}\cos \left(\beta \right)\sin \left(\lambda \right)=\cos \left(\delta \right)\sin \left(\alpha \right)\cos \left(\varepsilon \right)+\sin \left(\delta \right)\sin \left(\varepsilon \right);\\\cos \left(\beta \right)\cos \left(\lambda \right)=\cos \left(\delta \right)\cos \left(\alpha \right).\end{cases}}\\\sin \left(\beta \right)&=\sin \left(\delta \right)\cos \left(\varepsilon \right)-\cos \left(\delta \right)\sin \left(\varepsilon \right)\sin \left(\alpha \right)\\[3pt]{\begin{bmatrix}\cos \left(\beta \right)\cos \left(\lambda \right)\\\cos \left(\beta \right)\sin \left(\lambda \right)\\\sin \left(\beta \right)\end{bmatrix}}&={\begin{bmatrix}1&0&0\\0&\cos \left(\varepsilon \right)&\sin \left(\varepsilon \right)\\0&-\sin \left(\varepsilon \right)&\cos \left(\varepsilon \right)\end{bmatrix}}{\begin{bmatrix}\cos \left(\delta \right)\cos \left(\alpha \right)\\\cos \left(\delta \right)\sin \left(\alpha \right)\\\sin \left(\delta \right)\end{bmatrix}}\\[6pt]\tan \left(\alpha \right)&={\sin \left(\lambda \right)\cos \left(\varepsilon \right)-\tan \left(\beta \right)\sin \left(\varepsilon \right) \over \cos \left(\lambda \right)};\qquad {\begin{cases}\cos \left(\delta \right)\sin \left(\alpha \right)=\cos \left(\beta \right)\sin \left(\lambda \right)\cos \left(\varepsilon \right)-\sin \left(\beta \right)\sin \left(\varepsilon \right);\\\cos \left(\delta \right)\cos \left(\alpha \right)=\cos \left(\beta \right)\cos \left(\lambda \right).\end{cases}}\\[3pt]\sin \left(\delta \right)&=\sin \left(\beta \right)\cos \left(\varepsilon \right)+\cos \left(\beta \right)\sin \left(\varepsilon \right)\sin \left(\lambda \right).\\[6pt]{\begin{bmatrix}\cos \left(\delta \right)\cos \left(\alpha \right)\\\cos \left(\delta \right)\sin \left(\alpha \right)\\\sin \left(\delta \right)\end{bmatrix}}&={\begin{bmatrix}1&0&0\\0&\cos \left(\varepsilon \right)&-\sin \left(\varepsilon \right)\\0&\sin \left(\varepsilon \right)&\cos \left(\varepsilon \right)\end{bmatrix}}{\begin{bmatrix}\cos \left(\beta \right)\cos \left(\lambda \right)\\\cos \left(\beta \right)\sin \left(\lambda \right)\\\sin \left(\beta \right)\end{bmatrix}}.\end{aligned}}}](//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2e64f7f6ef1f8a0eda9cf775fa41f0023c54d4d)
적도 ↔ 지평
여기에서의 방위각(A)은 남쪽에서 서쪽을 향해 측정한 값임을 유념해야 한다.[6] 천정으로부터 대원을 따라 천체까지 잰 각도를 뜻하는 천정거리는 고도의 여각으로, 90° − a이다.[7]
![{\displaystyle {\begin{aligned}\tan \left(A\right)&={\sin \left(h\right) \over \cos \left(h\right)\sin \left(\phi _{\text{o}}\right)-\tan \left(\delta \right)\cos \left(\phi _{\text{o}}\right)};\qquad {\begin{cases}\cos \left(a\right)\sin \left(A\right)=\cos \left(\delta \right)\sin \left(h\right);\\\cos \left(a\right)\cos \left(A\right)=\cos \left(\delta \right)\cos \left(h\right)\sin \left(\phi _{\text{o}}\right)-\sin \left(\delta \right)\cos \left(\phi _{\text{o}}\right)\end{cases}}\\[3pt]\sin \left(a\right)&=\sin \left(\phi _{\text{o}}\right)\sin \left(\delta \right)+\cos \left(\phi _{\text{o}}\right)\cos \left(\delta \right)\cos \left(h\right);\end{aligned}}}](//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4591754e1a4d05bbcb52fd2b752ad2fa281ad42)
A에 대해 tan(A)을 풀 때 아크탄젠트의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서 arctan(x,y)을 뜻하는 atan2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1}}}로, 계산되는 사분면을 묘사한다. 따라서, 방위각을 남쪽부터 시작해 서쪽으로 잰다고 한다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만약 위 식에서 A가 음수라면, 360°를 더해 양수로 만들 수 있다.
[8]
아까와 같이, h에 대해 tan(h)을 풀 때는 atan2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따라서, 방위각을 남쪽부터 시작해 서쪽으로 잰다고 한다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displaystyle {\begin{aligned}x&=\sin \left(\phi _{\text{o}}\right)\cos \left(a\right)\cos \left(A\right)+\cos \left(\phi _{\text{o}}\right)\sin \left(a\right)\\y&=\cos \left(a\right)\sin \left(A\right)\\[3pt]{\begin{bmatrix}\cos \left(\delta \right)\cos \left(h\right)\\\cos \left(\delta \right)\sin \left(h\right)\\\sin \left(\delta \right)\end{bmatrix}}&={\begin{bmatrix}\sin \left(\phi _{\text{o}}\right)&0&\cos \left(\phi _{\text{o}}\right)\\0&1&0\\-\cos \left(\phi _{\text{o}}\right)&0&\sin \left(\phi _{\text{o}}\right)\end{bmatrix}}{\begin{bmatrix}\cos \left(a\right)\cos \left(A\right)\\\cos \left(a\right)\sin \left(A\right)\\\sin \left(a\right)\end{bmatrix}}\\{\begin{bmatrix}\cos \left(\delta \right)\cos \left(\alpha \right)\\\cos \left(\delta \right)\sin \left(\alpha \right)\\\sin \left(\delta \right)\end{bmatrix}}&={\begin{bmatrix}\cos \left(\theta _{L}\right)&\sin \left(\theta _{L}\right)&0\\\sin \left(\theta _{L}\right)&-\cos \left(\theta _{L}\right)&0\\0&0&1\end{bmatrix}}{\begin{bmatrix}\sin \left(\phi _{\text{o}}\right)&0&\cos \left(\phi _{\text{o}}\right)\\0&1&0\\-\cos \left(\phi _{\text{o}}\right)&0&\sin \left(\phi _{\text{o}}\right)\end{bmatrix}}{\begin{bmatrix}\cos \left(a\right)\cos \left(A\right)\\\cos \left(a\right)\sin \left(A\right)\\\sin \left(a\right)\end{bmatrix}}.\end{aligned}}}](//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80cd665d08444dadd652d53b0f1bfd9bb35e9c5)
적도 ↔ 은하
밑의 공식들[9]은 적도좌표계 좌표를 은하좌표계 좌표로 바꾸기 위한 공식이다.

는 은하 북극점의 적도좌표계 좌표이며,
는 천구의 북극의 은하 경도이다. J2000 역기점에 따르면, 각 상수의 수치는 다음과 같다.

만약 적도좌표계가 다른 분점을 나타낸다면, 공식을 적용하기 전 J2000 당시의 위치로 세차운동을 감안하여 위치를 이동시켜야 한다.
밑의 변환 공식은 B2000.0 역기점을 기준으로 한 공식이다.

변환 시 참고 사항
- 도( ° ), 분( ′ ), 초( ″ ) 형식으로 된 육십진법 각도는 계산 전 십진법 각도나 라디안으로 변환해야 한다. 음수 변환에서는 –10° 20′ 30″이 −10° −20′ −30″인 상태로 간주하고 변환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 시( h ), 분( m ), 초( s ) 형식으로 된 시간각은 계산 전 십진법 각도나 라디안으로 변환해야 한다.
- 1h = 15°; 1m = 15′; 1s = 15″
- 360° (2π) 초과 또는 0° 미만인 각은 0°~360° (0~2π) 범위로 변환한 후 계산하는 것이 편리하다.
- 위도(적위, 은위, 초은위)의 코사인 값은, 위도가 −90°~ +90°사이이기 때문에 언제나 양수가 된다.
- 역삼각함수 아크사인, 아크코사인, 아크탄젠트는 사분면을 여러 개로 해석할 수 있고, 따라서 결과를 신중히 평가해야 한다. 경도/적경/방위각을 계산할 때에는 atan2(atn2(y,x) 또는 atan2(y,x)형식으로 y/x의 아크탄젠트 값을 계산함) 사용이 권장된다. 위도/젹위/고도를 계산할 때에는 아크사인이 뒤따르는 사인함수를 찾는 방정식이 권장된다.
- 위에서 방위각(A)은 지평선의 남쪽부터 측정한다고 정의했으며, 따라서 남쪽 자오선 위에 떠 있는 천체는 A = h = 0°이 된다. 하지만 방위각의 정의뿐만 아니라 실제 많은 곳에서는 방위각을 북쪽부터 동쪽을 향해 잰다.
- 고도(a)는 대기 굴절을 고려하지 않는다.
- 지평좌표계의 공식에서는 일주시차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 효과는 달이 가장 크고, 행성은 이보다 작으며 항성은 거의 없다.
- 여기에서의 관측자의 경도(λo)은 본초자오선으로부터 서쪽으로 재는데, 이는 현재 국제천문연맹의 기준과 정 반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