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철권 (비디오 게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철권》(일본어: 鉄拳, Tekken, Iron Fist)은 남코의 대전 격투 게임인 철권 시리즈의 1번째 작품이다. 1994년 12월 9일 아케이드 게임으로 첫 선을 보였고, 1995년 3월 31일에는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이식되어 발매되었다.
등장인물
Remove ads
맵 설정
철권의 맵에서는 11개의 장소가 있으며 그 장소에서 대결이 끝나면 다음장소로 이동해 대결을 한다. 예를 들어
- 교토(일본)→앙코르와트(캄보디아)→마린 스타디움(일본)→마뉴먼트밸리(미국)→아크로폴리스(그리스)→피지(피지)→사천성(중국)→킹조지섬(남극)→베네치아(이탈리아)→시카고(미국)→윈더미어(영국)→교토(일본)이렇게 바뀌는 형식이다. 단 PS1판에서는 최종보스(미시마 헤이하치,데빌 카즈야)가 등장할때는 다음장소로 이동되지 않고 특정장소 3곳중 (교토, 앙코르와트, 베네치아) 1장소로 이동이 된다.
단 아케이드판은 다음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다.
기타
- 아케이드 경우에는 2P대전에서 숫자대신 과일로 설정하면 팩맨의 과일아이템이 차례대로 등장한다. 연승마다 스테이지의 과일이 등장한다. (앵두->딸기->배1->배2->...) 이 설정은 철권2까지 이어졌다.
- 타임 업 (Time up!)이 되면 K.O.되듯이 쓰러져 버리는 설정이 있었지만, 2부터는 쓰러지지 않는걸로 바꾸어 컨티뉴상태에서는 좌절이나 분한 자세로 바꾼다. 단 로저(/알렉스)와 프로토타입 잭은 쓰러져 버리는 장면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 철권1에서는 요시미츠의 중간보스는 쿠니미츠가 아니라 간류다. 따라서, 미셀 창의 중간보스는 쿠니미츠다.
- 아케이드판과 PS판은 배경음이 다르다.
- 패배 후에 누워있는 패배자와 함께 바닥화면이 뜨고 화면 밑에 푸른 글자 YOU LOSE가 계속 있으면서 CONTINUE? 9부터 시작하여 0이 되면 게임 오버가 된다.
- 플레이스테이션 이식판은 제작사가 NAMCO와 NAMCOT 두가지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가정용게임기에서만 사용하던 NAMCOT로 선발매되었다가 가정용,아케이드용 구분없이 NAMCO로 변경되면서 이후에는 NAMCO로 발매되었다.(CD표지에 미세한 차이가 존재한다)
평가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