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Remove ads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Convergence and Open Sharing System, COSS)은 대한민국 교육부가 주관하는 대학 간 협력 사업으로, 디지털 신기술 및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21년부터 2026년까지 6년간 진행되는 국가 프로젝트이다. 해당 사업은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학과 간 벽을 넘어 전공과 관계없이 학생들이 첨단분야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지역 및 대학 간 교육 격차 해소와 국가 수준의 핵심 인재 양성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1][2]

간략 정보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주최 ...
Remove ads

개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은 2021년 시작 당시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으로 명명되었으며, 2023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 사업은 인적·물적 자원을 상호 공유하여 대학 간 협력을 강화하고, 첨단 기술 분야의 교육 혁신을 도모한다. 총 67개 대학이 선발되었으며, 18개 컨소시엄으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첨단분야를 담당한다. 교육부는 COSS 사업에 연간 약 816억원을 지원하며, 각 컨소시엄은 약 102억원을 배정받는다. 추가로 산업교육센터 운영을 위한 16억원이 별도 지원된다. 사업 기간 동안 총 6년간 약 4,896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3]

목적

  • 교육 격차 해소: 수도권과 지방 대학 간, 대학 간 교육 역량 차이를 줄이고 균형 있는 교육 기회 제공.
  • 첨단분야 인재 양성: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등 국가 전략 기술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
  • 대학 간 협력 강화: 대학들이 자원을 공유하며 상호 연계된 교육 시스템 구축.
  • 산업 수요 대응: 산업계의 최신 기술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커리큘럼 개발 및 제공.

구조 및 운영

컨소시엄 구성

  • 대학주도형 7개(주관대학 1개교 참여대학 6개교)
  • 지자체참여형 5개교(주관대학 1개교 참여대학 4개교 지자체)

운영 방식

  • 공유 교육 플랫폼: 학생들은 전공에 관계없이 COSS 플랫폼을 통해 첨단분야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 통합 플랫폼 앱: 2024년 7월 오픈된 COSS 통합플랫폼 앱을 통해 강의 정보, 프로그램, 이벤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CO-WEEK ACADEMY: 매년 1회 열리는 팝업 캠퍼스 행사로, 18개 컨소시엄의 강의를 한 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다. 최대 16시간(990분)의 교육 수료가 가능하다.
  • CO-SHOW: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을 통해 개발된 융합 교육 프로그램과 그 성과를 널리 알리고,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한다. 초·중·고등학생부터 대학생, 일반 시민까지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입장료는 무료이다.

개인정보 처리

COSS 공식 홈페이지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회원 가입, 서비스 제공, 교육 활동 지원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한다.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는 ㈜에이치지에 위탁되며,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 보장 및 불만 처리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

지원 분야

대학주도형

  1. 인공지능(AI)
  2. 빅데이터
  3. 차세대반도체
  4. 미래자동차
  5. 바이오헬스
  6. 실감미디어
  7. 지능형 로봇
  8. 에너지신산업

지자체참여형

  1. 항공드론
  2. 반도체소부장
  3. 이차전지
  4. 차세대통신
  5. 에코업
  6. 그린바이오
  7. 첨단소재나노융합
  8. 데이터보안활용융합
  9. 차세대디스플레이
  10. 사물인터넷

선정 대학

대학주도형

자세한 정보 첨단분야, 주관대학 ...

지자체참여형

자세한 정보 첨단분야, 주관대학 ...
Remove ads

외부 링크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