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청근옹주

조선 장조와 경빈 박씨의 자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청근옹주(淸瑾翁主, 1758년~ 1835년 음력 9월 1일)는 조선의 왕족이다. 장조경빈 박씨의 딸로, 청근현주(淸瑾縣主)라고도 한다. , 본관전주이다. 고종 때 옹주로 추봉되었다.

간략 정보 청근옹주, 별호 ...
Remove ads

생애

가계

장조(사도세자)의 딸로, 어머니는 장조의 후궁 경빈 박씨이다. 경빈 박씨는 원래 숙종의 3번째 왕비 인원왕후의 나인 출신으로.[1] 1757년(영조 33년) 사도세자의 승은을 입고 청근옹주와 은전군을 낳았으나, 1761년(영조 37년) 남편에게 살해당했다.[2] 박씨는 사망 당시 세자의 후궁이었기에 품계는 종6품 수칙[3]이었다.[4]

현주 시절

청근옹주는 세자의 후궁의 딸이었기에, 옹주가 아닌 정3품 현주[5]에 봉해졌다. 청근현주는 1768년(영조 44년) 음력 12월 14일 홍양유의 아들 홍익돈과 혼인하였으며, 홍익돈은 당은첨위(唐恩僉尉)[6]에 봉해졌다.[7]

그러나 영조는 3년이 지난 1771년(영조 47년) 음력 12월 7일에야 청근현주의 길례를 이듬해 봄에 시행할 것을 명하였으며,[8] 이 길례에 맞춰 청근현주의 집을 수리하도록 하였다.[9] 한편 1777년(정조 원년)에는 유일한 동복 남매인 은전군이 역모를 꾀했다는 혐의를 뒤집어 쓰고 사사되었다.[10] 이후 1827년(순조 27년) 음력 1월 1일부터는 매년 설날마다 호조를 통해 청근현주에게 옷감과 음식을 정1품에 의거하여 보내도록 하였다.[11]

청근옹주는 1835년(헌종 원년) 음력 9월 1일에 사망하였다. 이후 예장도(禮葬圖)를 살펴서 그에 맞게 장례를 치렀다.[12]

사후

대한제국 때인 1899년(고종 36년, 광무 3년) 9월 1일 아버지 사도세자가 장종(莊宗)으로 추존되면서, 9월 12일에 청근현주의 생모 박씨는 종1품 귀인으로 추증되었고,[4] 왕의 서녀가 된 청근현주 역시 9월 21일 청근옹주(淸瑾翁主)로 추증되었다. 그와 함께 옹주의 남편 홍익돈에게는 당은위(唐恩尉)를 추증하였다.[13]

한편 부왕 장종은 이 해 12월 7일 묘호가 장조로 높아지고 의황제의 제호를 받았다.[14] 또 2년 후 1901년(고종 38년, 광무 5년) 10월 17일 옹주의 생모 박씨도 귀인에서 정1품 으로 진봉되어 경빈이 되었다.[15]

Remove ads

가족 관계

본가
  • 아버지 : 추존 장조(莊祖, 사도세자, 1735 ~ 1762)
  • 어머니 : 경빈 박씨(景嬪 朴氏, ?~1761)
    • 동생 : 은전군 찬(恩全君 禶, 1759~1778)
시가
  • 시아버지 : 홍양유(洪亮猷)
  • 시어머니 : 미상
    • 부마 : 당은위 홍익돈(唐恩尉 洪益惇)
      • 양자 : 홍병기(洪秉箕)
        • 손자 : 홍난섭(洪蘭燮)

청근옹주가 등장하는 작품

  • 소설 《하님》(정유석 저)

출처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